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후환경정책연구 북한의 산림복원과 기후변화가 물관리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방향 연구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추진체계와 보고서 구성

제2장 선행연구 및 동향 분석
1. 북한의 물관리 현황
2. 북한의 산림관리 현황
3. 시사점 및 소결

제3장 산림복원 및 기후변화 영향 분석
1. 연구 자료의 수집과 구축
2. 물관리 시설 DB 구축
3.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미래 가뭄 전망(북한 전역)
4. 물관리 현황과 유역모델링 구축(시범유역)
5. 산림복원 및 기후변화의 영향 분석(시범유역)

제4장 연구결과 및 향후 계획
1. 연구결과(요약)
2. 연구의 한계점 및 보완점
3. 향후 연구계획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o 연구의 배경
ㅇ 선행문헌에 따르면 과거로부터 근래까지 북한의 산림면적은 감소되어 왔으며,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 산사태와 토사의 발생 그리고 강수부족에 따른 가뭄 등과 같은 기후변화의 부정적 누적 영향이 물관리 취약성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판단됨
ㅇ 최근 남북한 간 환경 협력 우선과제 중 북한 지역의 산림복원이 채택 및 선언됨에 따라, 양측에서 환경개선 및 교류확대 계획을 밝힌 바 있음
ㅇ 비록 현장자료 부족 등으로 북한 연구의 특성적 한계가 있으나, 안정적 물관리를 위해서는 산림복원이 필수적이고 산림변화의 수준은 물관리 개선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그 복합적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매우 필요함

o 연구의 목적
ㅇ 본 연구는 산림복원과 기후변화가 북한 물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등 물분야 환경 협력 발전방향의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함
ㅇ 이와 같은 연구 결과 축적을 통해 물 관련 문제 해소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북한의 기후변화 적응력 증대를 통한 경제 발전, 주민 삶의 질과 생태환경 개선·보전의 선순환 정책 고리를 묶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ㅇ 물관리 등 환경교류 확대 측면에서 향후 정책교류로 확산될 수 있음

2. 연구 추진체계
o 본 연구는 아래 그림의 총 3개년 연구계획 중 1차 연도 연구에 해당됨

Ⅱ. 선행연구 및 동향 분석
1. 북한의 물관리 현황
o 수재해(홍수, 가뭄)
ㅇ 북한은 연강수량의 변동 폭이 크고, 최근 수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물관리 및 용수이용에 취약하며, 전력생산의 약 67%가 수력 발전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고됨
ㅇ 특히 북한에서 나타나는 수재해는 산림의 감소, 농지의 증가, 인프라 부족 등의 원인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에 매우 민감할 것으로 판단됨
o 수자원 및 물이용
ㅇ 남북한의 수자원 총량을 비교했을 때 총량은 남한이 소폭 많으나, 인구 차이로 인해 1인당 수자원량 및 가용 수자원 총량은 북한이 높음
ㅇ 그러나 상수도 시설 미비, 송수시설의 낮은 지속가능성 등의 인프라 및 서비스 공급·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실제 생활용수 공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추정됨

2. 북한의 산림 현황
o 토지피복 변화 분석
ㅇ 북한의 산림면적은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2000년대까지 높은 수준의 감소 경향을 보인 것으로 파악됨
ㅇ 그에 반해 같은 기간에 농지 면적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o 산림지형의 변화 분석
ㅇ 북한 또한 산림훼손의 문제점과 보존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자체적으로 그리고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산림복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ㅇ 산림은 물과 매우 밀접한 관계로, 복원 노력이 계속되었을 때 물관리 및 이용 측면에서의 영향과 변화를 예측하고 평가하는 것이 필요함
ㅇ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을 통해 기후변화와 산림복원의 복합적인 영향을 예측할 필요가 있음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