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연구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재정립 방안

요 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추진체계 및 방법

제2장 공원녹지 관련 정책현황 고찰
1. 공원녹지 관련 법률 및 정책의 변화
2. 도시공원 및 녹지의 조성현황
3. 부처별 공원녹지 관련 법률 및 정책 분석
4. 기존 문헌에서의 공원녹지 정책 고찰
5. 소결 및 시사점

제3장 관련문헌 및 해외사례 분석
1. 관련문헌 조사 및 분석
2. 해외사례 조사 및 분석
3. 소결 및 시사점

제4장 지속가능한 공원녹지 정책 재정립 방안
1. 공원녹지 패러다임 전환의 원칙 및 방향 설정
2. 도시 공원녹지의 개념 확대 차원
3. 도시 공원녹지의 질적 개선 차원
4. 도시 공원녹지 조성·운영 다각화 차원
5. 도시 공원녹지 관리기반 확보 차원
6. 도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 재정립 방향 종합

제5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및 고찰
2. 향후 발전방향 및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o 도시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도시공원 일몰제’의 위기 속에서도 공원녹지의 가치 및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기존 정책의 개선 및 연계 필요성 증대
ㅇ 도시 공원녹지계획의 합리성 확보 차원에서 도시공원의 가치와 기능의 제고를 통해 도시공원 및 녹지의 유형, 대상, 조성기법 등의 개선 방안 도출 필요
ㅇ 도시공원의 조성 및 관리 차원에서 관련 주체(중앙정부, 지자체, 소유자, 민간기업, 시민 등)의 역할과 조성 및 관리·활용 체계 등 다각적 측면에서 개선 및 연계 모색 필요

o 현 공원녹지 정책의 한계와 문제점을 점검하고 미래 도시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재편 방향 모색
ㅇ 도시 공원녹지와 관련된 국토교통부, 환경부, 산림청, 농림축산식품부 등의 관련부처 간 상호 연계 및 통합적 접근을 통해 정책 추진의 효율성을 높이는 정책대안 제시

Ⅱ. 공원녹지 관련 정책현황 고찰
1. 공원녹지 관련 법률 및 정책의 변화
o o조선시가지계획령(1934)o을 시작으로 o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2005)o까지 제도권의 편입과 관련 규정의 신설, 법적 독립 등을 거치면서 변천
ㅇ 급격한 경제성장 시기에는 공원녹지가 개발유보지로 인식되었으나, 이후 환경과 도시의 지속가능성 등의 가치를 지향하며 보다 적극적인 공원녹지 정책 수립
ㅇ 현대에는 도시공원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규정하고 다양한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도시재생, 재해로부터 안전한 도시, 아름다운 도시공간 조성, 시민참여 등을 지향

2. 부처별 공원녹지 관련 법률 및 정책 분석
o 관련 부처들의 협력 하에 도시 내 전반적인 오픈스페이스를 검토하여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공원과 녹지의 통합적 관리 필요
ㅇ 국토교통부: 도시 시설 중심의 공원녹지에서 구역 등 자연지역으로 범위 확대
ㅇ 환경부: 보전지역 중심에서 보전과 이용을 고려한 도시지역으로 확장(자연공원)
ㅇ 농림부/산림청: 도시숲, 도시농업 등 도시지역으로 공간적 영역 확대 및 기능 다양화
ㅇ 범부처 차원에서 환경, 삶의 질을 위한 생활SOC/복지공간으로서의 공원정책 강조

Ⅲ. 관련문헌 및 해외사례 분석
1. 관련문헌 조사 및 분석
o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LULUCF(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미래도시의 변화, 공원녹지의 가치 및 기능 측면에서 공원녹지 패러다임 전환에 시사점 제시
2. 해외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o 영국, 일본, 독일, 호주 주요 4개국의 공원녹지 관련 정책과 법, 조성 현황 등을 살펴보았으며, 각국의 주요 특징을 기반으로 시사점 제시
ㅇ 환경 및 여건 변화로 공원녹지에 대한 필요성 증대에도 불구하고, 도시 내 개발가용지의 수요 증가로 공원녹지 확대에 한계 존재
ㅇ 공원녹지의 환경·생태적 기능뿐 아니라, 사회적·경제적 측면이 고려된 공원녹지 유형 및 조성방안 모색 증대
ㅇ 대부분 국가(연방정부) 차원, 광역(연방주정부) 차원에서는 큰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고, 지자체 차원에서는 권한과 책임에 기반한 정책 및 사업추진력 확보 노력
ㅇ 공원 조성뿐 아니라 조성 후 유지관리 비용 고려 및 최소화를 위한 기법 모색 필요
ㅇ 민간기업 참여수준의 적절한 검토 및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