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후환경정책연구 이상기온에 따른 건강영향 평가·예측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전략 마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주요내용

제2장 한반도 이상기후 전망 및 예측분석
1. 이상기후의 정의와 기준
2. 이상기후현상의 최근 동향 및 추세분석
3. RCP 시나리오에 따른 이상기후예측분석

제3장 이상기온의 건강영향 평가
1. 이상기온의 건강영향 연구 동향
2. 체감온도를 이용한 이상기온의 건강영향 평가
3. TDI를 이용한 이상기온의 건강영향 평가

제4장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건강위험 예측 및 경제적 비용 산정
1.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건강위험 예측 연구동향
2.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건강위험 예측
3.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건강위험의 경제적 비용 산정

제5장 기후변화 적응능력 강화를 위한 건강부문의 대응 전략
1. 국내 이상기온 관련 정책 정리
2. 국외 이상기온 관련 정책 분석
3.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 평가 및 추정을 고려한 기후변화 대응 전략

제6장 요약 및 결론
1. 요약
2.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 예측의 기존 국내연구에서는 일별 평균기온과 최고기온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체감온도(AT)를 이용하여 기온 변화에 따른 건강영향을 평가하고, 평년 대비 이상기온 지수인 TDI를 적용하여 이상기온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토대로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피해를 산정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마련하였다.
이상기온으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15년의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7대 도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의 이상고온, 한파 등 이상기후 현상의 최근 동향 및 추세분석을 통하여 한반도 이상기후 전망 및 예측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고온과 관련하여 계절별, 연도별로 7대 도시의 평균, 최고, 최저기온과, 일교차 추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국내 폭염기준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1980~2015년 일평균기온의 상위 10% 지점인 폭염 역치수준을 적용하여 초과일수를 파악하였다. 한파의 추세를 분석할 때에도 겨울철 평균기온과 결빙일수의 추세를 파악하였으며, 7대 도시별 최고기온이 0℃ 이하인 일수로 정의되는 결빙일수와 일평균기온의 하위 10% 이하인 역치수준의 한파일수를 비교하였다.
국내 이상기후의 동향분석과 함께 RCP 시나리오에 따른 이상기후예측분석을 실시하였다. RCP 시나리오별(2.6, 4.5, 6.0, 8.5)로 7대 도시의 미래 평균기온 추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고, 최저, 평균기온과 일교차의 변화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2000~2100년 이상고온(폭염)일수와 이상저온(한파)일수 추세와 연대별 변화율을 분석하였다.
1992년부터 2015년까지 6대 도시를 대상으로 체감온도의 사망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전체연령의 경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지역에서는 체감온도 증가가 전체원인 사망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65세 이상 연령집단은 6대 도시에서 모두 체감온도 증가가 전체원인 사망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상기온의 수준뿐만 아니라 이상기온이 발생하는 시기를 고려하기 위하여 평년 대비 이상기온 지수인 TDI를 산정하여, 이상기온의 사망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전체연령의 경우 서울, 인천, 광주 지역에서는 TDI 증가는 전체원인 사망위험을 유의하게 높였고, 65세 이상 연령집단의 경우 인천과 광주 지역에서 TDI 증가는 사망위험을 유의하게 높였다.
이상기온의 건강영향 평가 결과와 TDI 지수를 이용한 이상기온의 발생 시기를 고려한 건강영향 평가 결과를 토대로, 2020년부터 2100년까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서울시의 미래 여름철(5~9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초과사망자 수와 건강위험의 경제적 비용을 추산하였다.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이상기온의 발생과 시기를 고려하여 초과사망자와 경제적 비용을 산정하였다. RCP4.5 시나리오를 적용한 경우 미래 이상기온의 체감온도와 TDI로 인하여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초과사망자 수는 2030년대, 2050년대, 2090년대 각각 매년 339명(95% CI: 239~441명), 492명(95% CI: 353~632명), 793명(95% CI: 595~996명)으로 추산되었다. 여름철 체감온도와 TDI로 인한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