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연구 매립자원의 순환이용 가능량 분석 및미래형 매립지 관리전략 마련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내용 및 수행 체계

제2장 국내 폐기물 발생 및 제도 현황 분석
1. 국내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2. 매립폐기물 성상변화 분석
3. 국내 매립지 관련 정책 및 관리기준 변화 분석
4. 매립지 관련 법제도 검토 및 고려사항

제3장 국내외 매립지 정비 및 순환이용사업 사례
1. 일본 매립지 재생사업 개요 및 사례
2. 국내 매립지 정비 및 순환이용사업 개념 및 사례
3. 국내·일본 매립지 정비 및 순환이용사업 비교
4. 매립지 정비 및 순환이용사업 효과

제4장 매립자원의 순환이용 가능량 및 효과분석
1. 매립자원의 순환이용 가능량 분석방법
2. 매립자원의 순환이용 효과 분석방법
3. 국내 매립지 주요 이슈 및 분석대상 선정

제5장 매립자원 순환이용 정책지원 방안 및 미래형 매립지 관리전략
1. 매립자원 순환이용 활성화 지원정책
2. 주변 국가의 매립지 관리정책 검토
3. 미래형 매립지 유형 분석
4. 미래형 매립지 관리전략 마련

제6장 결론 및 제언
1. 순환형 매립지 전환/신규 조성 시기 및 방법
2. 수명연장 효과 및 매립률 감소효과 산정 방법론 제안
3. 에너지가치 환산 및 비용 절감효과, 온실가스 감축효과 방법론 제안
4. 폐쇄형 매립지의 설치 운영 개선방안
5. 매립자원 순환이용 및 미래형 매립지 조성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우리나라에서는 2018년부터 「자원순환기본법」을 시행함에 따라 폐기물 처분부담금제도 등 새로운 폐기물 정책을 도입할 예정이다. 현재 발생하는 폐기물에 대해서는 재활용 및 에너지화 위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매립지의 자원화에 대한 정책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2011년부터 순환형 매립지 정비사업을 통해 매립자원의 에너지화를 추진하고 있으나, 매립물 선별의 어려움과 비효율적인 매립지 관리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여 사업 효과의 평가 및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가연성폐기물의 매립 억제 등에 따라 매립지가 무기성·불연성 매립지로 변하는 등 기존 매립지 관리방식의 한계 및 문제점도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법제도 검토, 매립자원의 순환이용에 따른 가능량, 매립지 사용기한 연장효과, 매립률 감소효과, 순환이용에 따른 에너지가치, 온실가스 저감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매립자원의 순환이용 활성화 지원정책 방안을 도출하고, 매립자원의 순환이용사업과 매립률 감소 및 반입성상변화에 따른 미래형 매립지 관리전략을 마련하였다. 매립률 3% 시대를 맞아 이에 필요한 미래형 매립지 관리전략을 마련하여 국내 정비 및 순환이용사업 또는 해외 ODA 사업 지원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매립지 사용종료가 임박함에 따라 매립지 수명연장을 위해 순환형 매립지를 도입하였다면, 일본에서는 불법매립폐기물의 처리를 위해 순환형 매립지를 도입했고 해외에서는 철금속(유가물)회수를 위해 도입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광역적 매립지에 순환형 매립지 조성사업을 실시하였으나, 일본에서는 국지적 매립지에 같은 조성사업을 실시하였다. 이 밖에 해외에서는 매립자원의 순환이용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부지를 타 용도로 활용하기 위하여 복원하는 형태다. 또 에너지회수 면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스토커소각 위주의 소각방식을 이용하는 반면, 일본에서는 열용융소각 위주로 진행하며 해외의 경우 따로 에너지회수를 하지 않는 형식으로 추진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립지의 만적 여부와 소각장·SRF 제조시설 현황을 기반으로 기존 사업 및 분석대상 매립지의 유형을 4가지로 나누었다. 첫 번째(유형 1 매립지)는 매립부지가 만적인 상태에 이르렀고 근처에 폐기물을 처리하는 소각장이 사용종료 임박에 가까워진 매립지이다. 두 번째(유형 2 매립지)는 매립지가 만적인 상태에 이르렀고 인근에 폐기물을 처리하는 소각장 또는 SRF 사용시설 처리용량과 수명 두 가지 모두 여유로운 매립지이다. 세 번째(유형 3 매립지)는 매립지가 만적인 상태에 이르렀고 근처에 폐기물을 처리하는 소각장이 없어 신설해야 하는 매립지이다. 네 번째(유형 4 매립지)는 (비)위생매립지로 굴착 후 가연물을 에너지화로 처리하고 부지를 타 용도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매립지이다. 분석대상 매립지 선정을 위해 총 매립용량이 20만㎥ 이상(색달매립지 예외)이며 사용연한이 10년 미만인 매립지를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제주에 위치한 색달매립지를 유형 1 매립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청주(유형 2-1), 경주(유형 2-2)에 위치한 매립지를 유형 2 매립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포항에 위치한 매립지를 유형 3 매립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유형 4 매립지는 기존 비위생매립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