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연구 ICT 발전트렌드에 대응하는 공간정보의 환경이슈 적용 체계 구축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3. 연구 방법

제2장 국내 환경정보 및 ICT 기술 현황 분석
1. 국내 환경공간정보 구축 현황
가. 국내 환경공간정보 구축 기관 현황
나. 환경공간정보 범주화
다. 환경공간정보 인벤토리 구축
2. ICT 신기술 현황
가. ICT 신기술 및 활용현황
나. ICT 신기술의 환경 분야 융합사례

제3장 환경공간정보 및 ICT 기술의 환경 분야 활용 메타분석
1. 텍스트 마이닝(빅데이터) 기반 분석 방법론
가. 텍스트 마이닝 기법
나. 텍스트 마이닝 기반 환경 분야 활용현황 분석 방법론
2. 국내 환경공간정보 환경 분야 활용현황 분석
가. 수집자료 현황 분석
나. 텍스트 마이닝 결과 및 시각화
3. ICT 신기술 환경 분야 활용현황 분석
가. 수집자료 현황 분석
나. 텍스트 마이닝 결과 및 시각화
4. ICT 기술과 환경공간정보 연계 현황

제4장 ICT 기술을 반영한 환경공간정보 활용 재구성
1. ICT 기술 적용 환경공간정보 활용 기술지도 작성
2. ICT 기술의 환경이슈 적용을 통한 환경공간정보 활용 재구성 예시
가. 기후변화 분야(폭염)
나. 재난재해 분야(지진)

제5장 결론 및 제언
1. 연구요약
2. 고찰 및 정책제언
가. ICT 기술 및 환경공간정보 융합 연구 개발
나. ICT 기술 및 환경공간정보 융합 연구 개발을 위한 전략 제언
다.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부 록
부록 Ⅰ. 환경공간정보 제공 시스템 인벤토리
부록 Ⅱ. 환경 주제도 인벤토리

Abstract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공간정보와 발전하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기술을 융합하여 최근 발현하는 환경이슈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사례 발굴 및 기존 환경공간정보의 활용을 재구성하여 효율적인 활용 방안 제시를 연구 목적으로 한다. 환경공간정보와 ICT 기술의 융합·활용이라는 연구주제의 기술적 특성을 고려하여, 환경공간정보의 구축 현황과 ICT 기술의 환경 분야 활용 사례에 대한 선행연구 및 관련 사례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였다. 더불어 환경공간정보와 ICT 기술을 활용한 국내 환경 관련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기법 중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공간정보와 ICT 기술의 융합 활용을 통한 환경이슈 대응 방안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다면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환경공간정보 구축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 및 사례를 검토한 결과, 총 22개 기관(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생태원 등)에서 보유한 환경공간정보와 향후 환경공간정보로 구축 가능한 자료는 전체 시스템의 제공자료 837개 중 53.8%, 환경주제도의 경우에는 전체의 74.9%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ICT 기술의 환경 분야 활용 사례 및 현황과 관련해서는 ICT 기술과 환경 분야에 직접 활용한 9건의 사례를 정리하였다. 분석된 ICT 기술은 그린 ICT(공공 및 산업융합 서비스, 빅데이터(빅데이터플랫폼), 인공지능(인공지능·인지컴퓨팅) 등이 해당된다. 각각의 ICT 기술에 대하여 정의, 역할, 시장동향과 영국, 독일, 중국 및 국내에서 ICT 기술이 환경 부문에 활용되는 직접적 사례를 조사·정리하였다.
환경공간정보 및 ICT 기술의 환경 분야 활용 메타분석에서는 빅데이터 분석방법 중 비정형 데이터 및 자연어 분석방법인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문헌자료는 NDSL(http://www.ndsl.kr)을 통하여 획득한 국내논문으로, 총 1,228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분석결과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국내 환경공간정보 환경 분야 활용현황 분석으로 조사 시작 시점인 1996년부터 2015년까지 환경공간정보의 활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환경공간정보 환경 분야 활용현황 결과 중 키워드 빈도 분석에서는 농업, 환경교육, 토지피복 등 환경 분야의 일반적 내용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환경 일반’이 40.85%로 가장 높았다. 키워드 시계열 분석에서는 1996년부터 2000년까지는 ‘기후’에 대한 연구 비중이 높았으나, 2001년부터는 ‘환경 일반’에 대한 연구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2001년 이후 ‘농업’, ‘환경 교육’ 등과 같은 환경기술 적용과 환경 교육 등에 관심이 높아진 것과 연관 지을 수 있다. 키워드 연관규칙 분석에서는 총 80개의 연관규칙이 생성되었다. 환경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관규칙을 나타낸 것은 ‘환경 일반’으로 17개의 규칙을 보였으며, 그 외에 ‘기후’ 16개, ‘생물다양성’ 11개, ‘토양’ 11개, ‘수질’ 9개, ‘대기’ 5개, ‘해양’ 5개, ‘유해물질 및 보건’ 3개, ‘쓰레기’ 2개, ‘소음’ 1개의 연관규칙이 생성되었다. 둘째, ICT 신기술 환경 분야 활용현황 분석으로, 1996년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