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사업보고서 개도국의 안전한 음용수 확보를 위한 적정기술 이전 및 보급확대(III) : 막증류 정수처리 현장규모 scale-up 연구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추진체계

제2장 몽골의 물 분야 정책현황
1. 정책 및 법체계
가. 정책
나. 법체계
2. 기관

제3장 몽골 하탄블라그 솜 지역의 안전한 식수공급 적정기술 선택요인
1. 하탄블라그 솜의 사회·경제적 요인
2. 하탄블라그 솜의 환경적 요인
가. 수자원 현황
나. 전력 현황
다. 기후 현황
3. 하탄블라그 솜 정부기관 역량
가. 지방자치기관의 구성
나. 물 공급 운영체계 및 역량
4. 하탄블라그 솜의 재정적 요인
가. 하탄블라그 솜 정부의 물 관련 예산현황
나. 하탄블라그 솜 주민의 물값 지불능력
5. 하탄블라그 솜의 식수원에 대한 주민인식
가. 보건위생 측면
나. 하탄블라그 솜 사업수요 설문조사
6. 몽골의 정수 처리 분리막 및 태양열 에너지 동향

제4장 몽골 하탄블라그 솜 지역 비소 제거를 위한 막 증류 처리기술 성능평가
1. 태양열 기반의 중공사막 증류 기술개발 목표
2. Lab-scale 실험
가. 중공사막 성능평가
나. 태양열 패널 및 펌프 시스템 성능평가
다. Lab-scale 태양열 기반의 중공사막 증류 시스템 실험
3. 몽골 하탄블라그 솜 현장 적용 성능평가
가. 현장 설치 조건
나. 실험성능 평가
다. 기술개선 사항
라. 경제성 평가
마. 현장 적용 실험연구의 한계점

제5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2010년 유엔은 물에 대한 인간의 기본적 권리를 인정하고자 개도국의 안전한 식수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한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그 후 2014년 유엔총회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설정하고 여섯 번째에 물과 위생에 대한 보편적 접근성을 핵심으로 하는 목표를 포함시켰다.
WHO/UNICEF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세계 인구 중 7억 명 이상이 안전하지 않은 식수 자원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의 개도국에 거주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도국의 안전한 식수 공급을 통한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적정기술의 개발 및 보급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기관에서는 2012년 특허청 산하 R&D 특허센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공동으로 태양열 기반 막증류 정수처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2013년에는 식수원의 비소 오염이 심각한 몽골 동고비 지역 하탄블라그 솜에 소규모 시스템을 설치하여 시범운전을 시행한 결과 99%이상의 비소를 제거하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지 적정기술로 적용하기 위해 처리생산량 50L/d 규모의 막증류 시스템의 현지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몽골 국가 차원의 물 관련 정책현황 및 대상지역인 하탄블라그 솜에 안전한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적정기술의 선택요인을 분석하여 태양열 기반의 막증류 시스템이 지속가능한 적정기술로 적용될 가능성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농촌지역에 먹는 물 기준을 충족하는 안전한 식수공급은 몽골 국가정책과 부합하며 이에 대한 일환으로 본 기술은 태양열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함에 따라 전력이 부족한 하탄블라그 솜 지역에 적합하고 현지 주민이 운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몽골의 물 정책은 대부분 도시 중심으로 이행되고 있어 지방의 물 공급지원은 열악한 실정이다. 또한 하탄블라그 솜의 우물 관리에 대한 정부의 재정 지원 부족과 현지 인력의 전문성 부족 등의 한계점도 조사되었다. 본 기술이 향후 하탄블라그 솜의 적정 정수기술로 도입·운영되기 위해서는 첫째, 태양열 기반의 막증류 정수처리 시스템의 최적화 및 운전 매뉴얼 수립, 둘째, 정부 담당자와 물 제공자의 관리 역량강화 지원, 셋째, 체계적인 물관리 및 주민참여 제고를 위한 커뮤니티 기반의 물관리 조직 수립 및 운영 지원, 넷째, 중앙정부의 주도적 재정 지원과 주민 인식 강화 및 교육 제공, 다섯째, 중장기적 식수 공급을 위한 태양열 에너지 지원사업과의 통합적 지원을 고려하여야 한다.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