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수탁보고서 기후변화 적응 정보 공동 활용 체계 구축

제1장 연구 개요
1. 배경 및 필요성
가. 배경
나. 필요성
2. 사업내용
가. 광역지자체용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VESTAP) 시스템 및 DB 확대 구축
나.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VESTAP) 시스템 안정화
다. 국가기후변화센터(기후변화 적응 정보 시스템) 운영 및 강화
3.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현황 분석
가. 국내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나. 국외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제2장 광역지자체용 Web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확대 구축
1. 광역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확대 구축 배경 및 목적
가.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도구 관련 국내·외 현황
나. 기존 평가도구 문제점 분석 및 개선 요구 사항
다. 광역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확대 구축 목적
2. 광역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시군구 단위 신규 DB 구축
가. 광역지자체용 신규 DB 구축 개요
나. 광역지자체용 신규 지표 데이터 구축
다. 광역지자체용 신규 매칭 테이블 데이터 작성
라. 광역지자체용 신규 기후변화 시나리오 데이터 작성
마. 광역지자체용 신규 메타데이터 작성
3. 광역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분석 설계
가. 목표시스템 설계
나. 객체지향 개발(Component Based Development; CBD) 방법론
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기반 GIS 아키텍쳐 적용
라. 기능 및 메뉴 설계
마. DB 설계
바. 화면 UI 설계
사. 파워유저 인터뷰
4. 광역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구현
가. 아키텍처 구성
나. 광역지자체용 VESTAP 메뉴구성도
다. 광역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구현
라. 시스템 매뉴얼 제작

제3장 기초지자체용 Web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안정화
1. 기초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원시자료 갱신 및 현행화
가. 기초지자체용 데이터 갱신 및 현행화 개요
나. 기초지자체용 데이터 갱신 및 현행화 방법
다. 기초지자체용 데이터 갱신 및 현행화 결과
라. 기초지자체용 데이터 안정화 및 활용도 향상을 위한 추가 조치 사항
2. 기초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추가기능 개발
가. 개선기능 도출
나. 개선기능 구현
3. 기초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워크숍 및 컨설팅 지원
가. 기초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워크숍 및 컨설팅 지원
나. 기초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홈페이지 정보 지원
4. 기초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문의 및 건의사항 응대 현황
가. 기초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문의 및 건의사항
나. 기초지자체용 취약성 평가 문의 및 건의사항 응대 현황
5. 시스템 만족도 설문조사
가. 기초지자체용 VESTAP 시스템 만족도 설문 조사 개요
나. 기초지자체용 VESTAP 시스템 만족도 설문 조사 방법
다. 기초지자체용 VESTAP 시스템 만족도 설문 조사 결과

제4장 기후변화 적응 정보 시스템(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운영 및 강화
1. 신규 기후변화 적응 콘텐츠 확대 구축
가. 일간 언론속 기후변화적응 및 주간동향 경향 제공
나.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 주요 이슈분석 및 이슈리포터 제공
다. 기후변화 적응 월간 콘텐츠 제공
1.1.배경 및 필요성
1.1.1.배경
□ 2015년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 시행계획 수립이 법정 의무화가 시행되었으며, 총 224개의 전국 기초지자체가 기후변화 적응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 중 임
○전술된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 시행계획에서 지자체 담당자에게 가장 어려운 부분은 개별 지자체의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과 취약한 부문, 분야 등을 정량적으로 선정하는 것임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2014년 말부터 기초지자체용 웹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 도구를 개발하여 보급 중

□ 2016년 국가기후변화 적응대책 제2차 수립을 준비 중이며, 환경부 및 중앙부처 차원에서의 기후변화 적응 정보의 필요성, 활용 확대에 대한 논의가 심도 있게 진행 중
○제2차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에서 다양한 기관에 산재되어 있는 기후변화 관련 정보를 DB로 구축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 중
○또한, 사용자(지자체, 산업계, 대국민 등)의 기후변화 정보 활용 확대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보다 쉽게 시각화된 기후변화 정보 제공이 필요
○개별 부처에서 수행 중인 기후변화 취약성 도구를 최신의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법을 적용한 연계 플랫폼 개발에 대하여 논의 중

□ 2017년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 계획 2차 수립을 위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임
○광역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 세부 시행계획 제2차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취약성 평가 방법론 및 활용 도구의 개선이 필요
○제1차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대책에 활용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 도구의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대두됨

□ 취약성 평가에 필요한 원시자료의 부재 및 각 부처·기관·지자체에서 생산된 데이터 형식 및 기준 차이로 인한 정보 간 상호연계에 한계 및 정보의 공동 활용 필요성 대두
○공간적 표준화, 지표별 특성을 고려한 추정치 도출 등 기초 방법론 개발을 통한 데이터 신뢰도의 지속적 향상 필요
○또한, 사용자(지자체, 산업계, 대국민 등)의 기후변화 정보 활용 확대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보다 쉽게 시각화된 기후변화 정보 제공이 필요
○정부 3.0 패러다임에 따른 기후변화 관련 공공정보 개방, 공유 필요성 증대
○또한 기상청의 新시나리오 반영, 지자체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를 통해 중점 취약 분야에 대한 취약성 지도를 제공함으로써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 재수립과 지자체 세부시행계획 수립 지원
○취약성 평가도구의 개발 및 보급 등으로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국내·외적으로 기후변화 적응 정보 공동 활용 및 공조에 대한 화두가 되고 있는 시점
○그러나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국내 각 부처·기관·지자체 등의 정보(추진방향, 연구 성과, 수립된 정책, 생산 및 가공자료 등)의 공유는 부족한 실정

1.1.2.필요성
□ 2013년도 환경부에서 수행한 “국가 기후변화에 따른 공동 환경대응체계 구축 ISP”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와 관련된 파일럿 프로그램인 기초지자체용 ‘웹 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VESTAP: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to build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를 개발하였으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