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수탁보고서 기후변화 적응 정보 공동 활용 체계 구축

제1장 연구 개요
1. 배경 및 필요성
가. 배경
나. 필요성
2. 사업내용
가.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홈페이지(기후변화 적응 정보 시스템) 강화 및 콘텐츠 확대
나. Web 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파일럿 개발
다. “기후변화 적응 정보 공동 활용 체계” 홍보 및 활용방안 연구
3.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현황 분석
가. 국내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나. 국외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제2장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운영 및 강화
1.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연구 성과 강화
가.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연구 성과 구성방안
나.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연구 성과 제공
다. 시스템 운영 및 강화 소결
2. 신규 기후변화 적응 콘텐츠 확대 구축
가.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 주요 이슈분석
나.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 신규 보고서 현황
다. 기후변화 적응 관련 연구 성과 및 현황 정보 제공
라. 언론속의 기후변화적응 및 주간언론 제공
마. 기후변화 적응 관련 교육자료 제공
바. 메타데이터 DB 구축
사. 콘텐츠 확대 구축 소결
3.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리뉴얼 및 안정화
가.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메인화면 및 메뉴 개편
나.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기능 개선
다.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안정화
4. S/W, H/W 시스템 고도화 및 유지보수
가. S/W, H/W 유지보수
나. 신규 장비 도입

제3장 Web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파일럿 개발
1. Web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파일럿 개발 배경 및 목적
가. Web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파일럿 개발 배경
나. 국내·외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도구 현황
다. 기존 평가도구 문제점 분석 및 개선 요구 사항
라. 개선사항 반영 및 개발 방향 설정 1
마. 파일럿 개발 배경 및 목적 소결
2.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구성 주요 지표 및 항목 분석현황
가. DB 수집방법 및 분석현황
나. 분야별 주요 항목 및 지표 분석
3.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파일럿 시스템을 위한 지표 DB 구축
가. 개요
나. DB 구축 절차 및 방법
다. DB 구축 절차 및 방법
4.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파일럿 개발 방법론
가.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파일럿 개발
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기반 GIS 아키텍쳐 적용
다. 파일럿 개발 방법론 소결
5. 취약성 평가 지원도구 시범 개발 구현
가. 사용자 분석 및 시스템 설계 가이드
나. 화면 UI 설계
다. DB 설계
라. 실무자 콘텐츠 협의
마. 시스템 구현
바. 시스템 매뉴얼 제작

제4장 시스템 홍보 및 만족도 조사
1. 기후변화 적응 정보 시스템 홍보 및 대외 활동
가. 시스템 학계 홍보 및 학회 활동
나.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전문가 워크숍 개최
다. 국·영문 홍보 팸플릿 제작
라. 국·영문 홍보 팸플릿 제작
2.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 만족도 설문 조사
가. 신규 센터 시스템 및 파일럿 시스템 만족도 설문 조사 일반 사항
나. 신규 센터 시스템 및 파일럿 시스템 만족도 설문 조사 결과
다. 파일럿 시스템 만족도 설문 결과
라. 만족도 설문 조사 소결

제5장 향후 발전 방안
1. 국가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적응은 21세기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화두이며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의 발생 및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현상은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어 선제적, 과학적 대응을 할 수 있는 정보 수요가 증대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적응 관련 정보는 주무부처, 유관기관, 관련 시스템별로 분산되어 있으며, 각 이해관계자는 관련 분야 정보만을 구축하는 경향이 있어 정보의 협소화 및 정보공유의 부재가 발생하고 있다. 개별 생성 및 가공된 정보는 자료의 형식, 구성 등이 상이하여 정보의 전처리 작업 또는 표준화 작업 없이는 타 정보와의 연계 및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분산되어 있는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는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적응 일반정보부터 다양한 분야(감시 및 예측, 재난재해, 농업 등)의 이해관계자들을 포괄할 수 있는 정보 체계 성격을 갖추어야 한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적응 정보와 관련하여 필요에 따른 제한적인 구축·관리가 아닌 국가적 차원의 정보 통합 및 관리가 필요하다.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한 문제는 단일 분야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기상관측 인프라는 상당한 발전을 이룬 반면, 생산된 정보를 처리하고 과학적으로 관리하는 조직과 시스템은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전문 연구진의 국내·외 동향 분석을 통한 신뢰성 있는 콘텐츠 구축 및 지속적인 정보 구축 및 관리 필요하며,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일반국민 및 산업체 등 민간 부분으로의 인식증대 및 정보 확산 도모가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시스템이 정보 접근 및 상호교류 활성화, 지속적 업데이트 및 보완을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으로 인식하여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첫째, 2013년 구축한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의 콘텐츠를 고도화 하였다.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시의성, 중요성 및 대국민의 이해도 향상을 위하여 월간 주요 이슈 내용을 선정하고 이를 웹 콘텐츠로 정리하여 작성·반영하였다. 또한 일간지의 최신 정보를 수집하여 기후변화 동향을 분석해 제공하고, 발간 연구·정책 보고서, 세미나·포럼 자료집 및 기관동향 등과 같은 정보를 신규 구축하였다. 그리고 시의성 및 전문성을 고려한 신규 문헌, 통계 정보를 선정하여 메타데이터를 구축하는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를 강화하였고, 기후변화적응 관련하여 국민들이 친밀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식의 교육자료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2014년 말 현재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에서는 전술된 항목을 포함하여 총 23,380건의 기후변화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둘째, 기후변화 적응 시스템의 사용자 활용성 증대, 접근성의 강화를 위한 시스템 리뉴얼 및 안정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기존 전문가 대상 정보제공 위주의 시스템에서 대국민 대상의 친화적 시스템으로 변경, 시스템 디자인 및 메뉴 구성을 개편하였다. 특히, 주요 이슈에 손쉽게 접근 할 수 있는 퀵 서비스 메뉴의 시스템 전면 제공, 최신 업데이트 정보의 직관적 표출, 사용자 관심 중심의 체계 구성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