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연구 산업단지 환경영향평가의 건강ㆍ사회 분야 평가 강화 방안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방법 및 보고서 구성

제2장 건강영향평가 및 사회영향평가의 이론적 분석
1. 건강영향평가 이론 및 국내·외 운용현황
가. 건강영향평가의 정의 및 이론적 배경
나. 건강영향평가 국내·외 운용현황
2. 사회영향평가 이론 및 국내·외 운용현황
가. 사회영향평가의 정의 및 이론적 배경
나. 건강영향평가 국내·외 운용현황

제3장 건강영향평가 및 사회영향평가의 사례 분석
1. 건강영향평가 국내·외 사례 분석
가. 국내 사례 분석
나. 국내 건강영향평가 시행 효과 분석
다. 국외 사례 분석
라. 시사점
2. 사회영향평가 국내·외 사례 분석
가. 국내 사례 분석
나. 국외 사례 분석
다. 시사점

제4장 평가방법론 개발
1. 산업단지 관련 계획 분석
가. 산업입지 수급계획
나. 산업단지 지구지정 단계 내용
다. 산업단지 조성 단계 내용
2. 국내·외 기존 방법론 분석
가. 건강영향평가 방법
나. 사회영향평가 방법
3. 건강결정요인 및 사회영향평가 요소 분석
가. 건강결정요인
나. 사회영향평가 요소
4. 단계별 평가방법론
가. 전략환경영향평가 단계
나. 환경영향평가 단계
5. 시범사업 실시
가. 마산 수정일반산업단지
나. 시사점

제5장 정책적 제언
1. 단기적 개선 방안
가. 「환경영향평가법」
나. 「환경보건법」
다. 「대기환경보전법」
2. 향후 추진 과제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PM-2.5 기여도 및 배출량
부록 2. 국외 PM-2.5 배출계수
부록 3. 국제석유산업환경보존협희(IPIECA) 사회영향평가 가이드
부록 4. 시멘트 지속가능협의회(CSI) 환경사회영향평가 가이드라인
부록 5. 제리코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서
부록 6. 국외 주요 건강결정요인 239

Abstract
산업단지 조성 후 발생하는 환경오염 및 폭발사고에 대한 건강상 우려와 조성 자체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산업단지 조성 이전에 줄여보고자 산업단지 조성사업을 대상으로 전략환경영향평가 단계와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건강과 사회 분야의 평가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들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건강영향평가 및 사회영향평가 관련 선행 연구 보고서, 논문, 가이드라인, 환경영향평가서 등을 분석하였다. 또 마련된 사회영향평가 방법론을 과거 진행 사업에 대하여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강화 방안 실현을 위해서는 관련 법규가 정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관련 법률별로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건강 분야 강화는 2015년부터 대기환경기준이 적용되는 PM-2.5의 평가 방안과 화학물질 사고에 국한하였다. 사회 분야는 당해 계획 또는 개발 사업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수 있도록 사회영향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평가방안을 마련하였다.

① PM-2.5 평가 방안
PM-2.5가 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는 점이 큰 차이점이겠지만, 이를 제외하면 PM-2.5의 평가는 PM-10의 평가와 그 방법이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발생량 산정 방법에 국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발생량 산정은 첫째, 국내 PM-2.5와 PM-10의 배출량 비율을 이용하는 방법, 둘째, 배출원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가 있을 경우 외국의 배출계수를 이용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두 가지 방법으로 PM-2.5의 발생량을 산정할 수 없을 경우에는 우리나라 대기 중 PM-2.5와 PM-10의 평균 비율 0.6을 곱하여 가중농도를 계산하여 PM-2.5를 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② 사고 평가 방안
산업단지 내에 입주할 공장의 세부 공정을 알고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사고 평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전자의 경우에는 기존 공장의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사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전략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사고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는 사용할 물질의 종류, 양 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들 정보를 알 수 있는 단계인 배출시설 인·허가 단계에서 검토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③ 사회영향평가 방안
사회적 갈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략환경영향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단계의 스코핑 강화 방안, 스크리닝 체크리스트, 사회영향평가 요소, 사회영향평가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사회영향평가의 특성상 제안된 사항들은 전략환경영향평가 단계나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의 차별성이 크지 않았다. 특히 사회영향평가 방법론에 대해서는 기존 우리나라 사례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기본으로 지속적인 대화와 논의를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어 차별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그리고 스코핑 강화 방안은 현행 환경영향평가협의회의 구성 주체, 구성원의 요건 등을 조정함으로써 달성될 것으로 생각되어 주체, 구성요건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④ 법규 개정
이번 연구와 관련 있는 법률은 o환경영향평가법o, o환경보건법o, o대기환경보전법o, o화학물질관리법o이었다. 이 중 o화학물질관리법o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