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연구 실내공기질 관리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I. 서 론
1. 연구배경
2. 연구내용 및 범위
II. 실내공기질과 건강
1. 현대인의 삶과 실내공기질 문제
2. 실내공기의 건강영향
가. 실내공기질과 관련된 질병
나. 주요 오염물질의 건강영향
다. 실내공기질 악화로 인한 사회적 손실
3. 주요 배출원과 저감 수단
가. 오염물질별 주요 배출원
나. 저감 수단
III. 외국의 실내공기질 관리사례
1. 국제기구 및 민간단체
가. 국제보건기구(WHO)
나. 유럽연합
다. 국제 실내공기질 학회
2. 외국 정부의 관리정책 사례
가. 덴마크
나. 독일
다. 네덜란드
라. 폴란드
마. 스위스
바. 영국
사. 핀란드
아. 미국
자. 호주
차. 카나다
카. 일본
타. 노르웨이
3. 사례조사를 통해 본 정책의 특징
가. 실내공기질에 대한 인식
나. 문제 접근 방식
다. 정부와 민간부문의 협력
라. 실내공기질 관리 항목의 범위
마. 대상 공간의 범위
바. 건강한 빌딩의 추구
사. 정보 제공과 전문가 네트워크의 구축
4. 새로운 동향 및 논의 사항
가. VOCs 관리
나. 알러지와 어린이에 대한 논의
다. 건축자재에 대한 논의
라. 곰팡이 등 생물성 오염물질에 대한 논의
마. 오염물질에 대한 논의
바. 2차 반응 오염물질
사. 측정분석 방법에 대한 논의
IV. 우리나라의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1. 실내공기질 관리제도 현황
가.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
나. 공중위생관리법
다. 건축법(건축물의설비기준등에관한규칙)
라. 학교보건법시행규칙
2. 환경라벨링제도
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
4. 평가
가. 건강 리스크 관리 측면
나. 관리대상 공간
다. 관리대상 오염원
라. 관리대상 오염물질
마. 학교 실내공기질 관리
바. 예산 및 조직
사. 정보제공
V. 실내공기질 정책 방안 및 향후 과제
1. 인프라 구축
가. 오염실태 조사
나. 위해성 평가 및 사회적 비용 추정
다. 전문가 네트워크의 구축
라. 실내환경개선위원회의 운영
마. 예산 및 조직의 증원
2. 일반주택관리 및 실내공기질 등급화
3. 건축자재 등 오염원 관리 강화
가. 건축자재 관리
나. 기타 오염원의 관리
4. 생물성 오염물질 등의 관리
5. 학교 실내공기질 대책 마련
6. ‘건강한 건물’ 개념의 도입
참고문헌
Abstract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