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수탁보고서(원내) 유럽의 선진환경기술교류 활성화방안 연구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제2장 유럽의 환경기술개발 현황
제1절 유럽연합
1. 과학기술정책
2. 공동연구프로그램
3. 환경기술개발사업
제2절 독일
1. 환경기술개발 동향
2. 환경기술개발 관리체계
3. 주요 환경기술개발사업
제3절 영국
1. 환경기술개발동향
2. 환경기술개발 관리체계
3. 주요 환경기술개발사업
제4절 프랑스
1. 환경기술개발동향
2. 주요 환경기술개발사업
제5절 이태리
1. 환경기술개발 동향
2. 환경기술개발 관리체계
3. 주요 환경기술개발사업

제3장 유럽의 환경규제 및 대응기술연구
제1절 신화학물질관리정책
1. 추진경과
2. 주요내용
제2절 유해물질사용제한지침
1. 추진경과
2. 주요내용
제3절 폐차처리지침
1. 추진경과
2. 주요내용
3. 대응기술
제4절 전기전자장비폐기지침
1. 추진경과
2. 주요내용
3. 대응기술(독일)
제5절 자동차배출가스기준
1. 추진경과
2. 주요내용
3. 대응기술
제6절 에코라벨링
1. 추진경과
2. 주요내용
제7절 통합제품정책
1. 추진경과 및 주요내용
2. 각국의 IPP 대응동향

제4장 유럽의 선진환경기술교류 활성화방안
제1절 기술분야의 부처별 국제협력 현황
1. 과학기술부
2. 환경부
제2절 한·독간 환경협력 현황
1. 양국간 환경기술
2. 양국간 국제협력 현황
3. SWOT 분석
제3절 한·독간 환경협력 활성화 방안
1. 단계별 협력전략 및 환경협력사업
2. 환경협력사업별 세부 추진방안
3. 우선 협력시범사업계획(안)
4. 환경헙력 유망 기술분야 및 협력후보기관
5. 협력성과 제고방안
제4절 한 EU간 공동연구 활성화 방안
1. EU 비회원국가의 FP 참여현황
2, 한국의 FP 참여 활성화 방안

제5장 결론

[약어집]

[부록]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의 환경에 대한 관심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세계의 환
경시장 규모 역시 확대 추세에 있다. 현재의 세계 환경시장 구조를 살펴보
면, 각국의 내수비중이 80~90%로, 환경시장에 있어서는 아직 뚜렷한 국제
분업구조가 형성, 정착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환경 기술분야가 타 기술
분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세계 장벽이 낮음을 의미하며, 환경기술 수준이
높지 않은 한국도 우수한 환경기술력을 조속히 확보한다면, 세계 환경시장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또한 환경기술력의 향상은 국민
에게 더욱 쾌적한 삶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되기도 한다.
국내의 환경기술수준은 선진국 대비 40~70% 범위에서 평가되고 있으며
사전오염예방, 생태계 보전/복원, 환경보건 등이 취약한 분야로 조사1)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범정부 법정계획인 「환경기술개발종합계획(2002. 11)」에
서는 “환경기술혁신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환경산업을 차세대 국
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목표 하에 2007년까지 사후처리 및 사전예방복
원 분야의 환경기술을 각각 선진국 대비 70~80% 및 60~70%로 제고할 계
획에 있다.
최근의 국제 환경정책은 EU의 주도하에 이루어진다 해도 과언이 아니며,
EU는 그동안 다양한 형태의 강화된 환경정책 및 규제 등을 통해 환경보전
을 선도하고 있다. 2001년, EU는 6차 환경대책계획안을 수립하여 2010년까
지의 환경정책 목표와 틀을 세웠으며 국제 환경문제에서 EU의 역할을 강조
한 바 있다. 6차 환경대책계획안의 환경정책 목표는 자연 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개발이다. 이를 위해 EU는 환경무역규제 등 여러 부문에서 환경규제
를 강화하고 있으며, 2004년 5월, 동유럽 10개국이 EU에 가입함에 따라,
기존 EU의 환경규제 대상지역은 더욱 확대일로에 있다.
이러한 국제 환경규제 흐름에 맞추어, EU 회원국 뿐 아니라 비회원국들도
선진 환경규제 대응책을 마련하고 연구개발사업을 활발히 추진 중에 있다.
한국 역시 이러한 환경기술 연구개발사업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만 할 것이
며, EU를 비롯한 선진국의 연구 개발동향, 환경산업시장정보 등을 체계적으
로 수집, 분석하여 국내의 환경기술개발 방향을 정립함과 동시에 환경 선진
국과의 국제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 환경정책을 선도하고 있는 EU를 비롯한 4개 회원국(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의 환경기술연구, EU의 대표적 환경규제 및 대응기
술연구 동향 등을 조사하고 환경분야별 우수 연구기관을 조사, DB화하여 차
세대사업 수행 연구기관에 제공함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결
과는 국내 산업체에게 EU 환경규제의 대응책 및 연구개발의 방향을 제시함
과 더불어 환경기술연구의 국제 동향 정보를 제공하여 국내 환경분야 연구
의 선진화를 위한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환경분야별 우수연구소 DB는
국내 연구진에게 적정 협력연구기관을 소개함으로써 국제 환경협력 활성화
를 위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표는 독일과의 환경교류를 통하여 독일의 선진 환경
기술을 국내 환경기술에 도입, 접목함으로써 국제 환경여건 변화에 적극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