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연구 경관생태학적 환경영향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제1장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 및 범위 2
제2장 동·식물상 분야 환경영향평가 현황 및 문제점 4
1. 환경영향평가서 작성규정 4
가. 현황조사 4
나. 사업시행으로 인한 영향예측 7
다. 저감방안 8
라. 사후환경영향조사 10
2. 환경영향평가서 작성현황 10
가. 현황조사 10
나.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 12
3. 문제점 14
가. 현황조사 14
나. 영향예측 및 저감대책 14
제3장 경관생태학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동향 16
1. 경관의 의미 16
2. 경관생태학의 개념과 발달 16
가. 생물지리학과 지생태학 측면 18
나. 생태학과 식생학 측면 19
다. 인간생태학 측면 20
라. 생태계 보전과 환경정책의 측면 20
3. 국내외의 연구동향 21
가. 국제경관생태연합과 동북아시아의 경관생태학 연구 21
나. 한국의 IALE활동 및 경관생태학적 토지이용계획 관련 연구 22
제4장 경관생태학적 평가기법의 적용방안 검토 24
1. 일반생태학과 경관생태학의 차이 24
2. 현행 환경영향평가의 한계점과 발전방안 26
3. 경관생태학의 원리와 응용 27
가. 경관생태학의 원리 27
나. 경관생태학적 원리의 응용 가능성 29
4. 환경영향평가에 활용 가능한 이론들 30
가. 경관바탕의 역동성과 위계이론 31
나. 경관조각의 다양성과 측정지수 32
다. 통로의 종류와 주요기능 33
라. 경계와 가장자리의 기능 34
제5장 사례지역의 경관생태학적 특성 분석 36
1. 사례지역의 선정 36
2. 선정된 사업지역의 분석 36
가. 오송생명과학단지 개발사업(면적사업) 36
나. 병천∼용두리간 도로확장 및 포장공사(선형사업) 51
3. 분석결과의 비교 65
제6장 동·식물상 항목의 경관생태학적 평가기법 제안 67
1. 현황조사의 구상 67
2. 생물서식공간의 구분 68
3. 조사결과의 분석, 영향예측, 저감방안 수립 68
4. 경관생태네트워크의 구축 방안 69
가. 핵심생태지역 70
나. 거점생태지역 70
다. 연결생태지역 70
5. 경관생태학적 토지이용계획의 수립 71
6. 경관생태학적 평가방안의 요약 및 기존 평가방안과의 차이점 73
제7장 결론 77
1. 경관생태학적 환경영향평가의 중요성 77
2. 연구의 요약 79
3. 정책제안 및 향후 연구과제 80
참고문헌 81
<부록 1> 경관생태학에서 생태계평가를 위한 일반적 이론 87
1. 생태계 평가의 이론적 배경 87
2. 평가 과정 90
가. 고유성 평가 91
나. 조각화 평가 91
다. 취약성(fragility)과 안정성(stability) 92
라. 회복력과 저항력 93
마. 중추종 93
바. 지역의 생물다양성 94
3. 경관분석지수 97
가. 개별 서식지(패치)의 분석지수 98
나. 경관내 패치 집단의 분석 99
다. 서식지의 공간적 배열 100
라. 서식지간 인접성 지수 10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