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연구 수저퇴적물 환경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Ⅰ.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1. 필요성 1
1.2. 목적 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2.1. 연구범위 4
2.2. 연구방법 5
Ⅱ. 퇴적물 환경기준의 개념 8
1. 용어정의 8
2. 퇴적물 환경기준 개발의 배경 11
2.1. 수질/자연자원 관리 11
2.2. 준설퇴적물 관리 14
2.3. 수저퇴적물 관리 19
2.4. 퇴적물질기준 개발과 관련된 문제점 26
Ⅲ. 퇴적물질기준의 개발사례 28
1. 일반퇴적물 관리기준 28
1.1. 퇴적물지표의 종류 28
1.2. 퇴적물지표의 설정 및 관리사례 32
1.3. 시사점 37
2. 준설퇴적물 관리기준 38
2.1. 투기기준 39
2.2. 제거기준 45
2.3. 시사점 47
3. 수저퇴적물 관리기준 51
3.1. 미국 52
3.2. 캐나다 57
3.3. 유럽 61
3.4. 시사점 63

Ⅳ. 국내퇴적물 오염현황 64
1. 연구방법 64
2. 오염현황 65
2.1. 유기물에 의한 오염현황 65
2.2. 영양염류에 의한 오염현황 68
2.3. 중금속에 의한 오염현황 72
2.4. 기타화학물질에 의한 오염현황 76
3. 시사점 76
Ⅴ. 퇴적물질기준 개발방안 78
1. 퇴적물 오염현황 파악 81
1.1. 퇴적물 조사지침의 개발 81
1.2. 담수퇴적물 측정망 구축 82
2. 퇴적물질예비기준(안)의 도출 88
2.1. 개발의 필요성 88
2.2. 퇴적물질기준의 항목 89
2.3. 퇴적물질예비기준(안)의 도출 92
2.4. 퇴적물질예비기준(안)의 적용 한계 100
3. 지역퇴적물질기준의 설정 100
3.1. 지역퇴적물질기준의 개념 및 필요성 100
3.2. 지역퇴적물질기준의 설정방법 101
3.3. 퇴적물 제거 및 정화기준 105
4. 퇴적물질기준의 적용방안 108
4.1. 예비평가 109
4.2. 지역평가 111
Ⅵ. 요약 및 결론 112
[참고문헌] 115
[부표 1] 미국 주정부의 퇴적물질기준 설정사례 124
[부표 2] 캐나다 주정부의 퇴적물질기준 설정사례 149
[부표 3] 유럽의 퇴적물질기준 설정사례 155
[부표 4] 퇴적물질기준 개발을 위한 국내연구 사례 162
[부표 5] 오염원 종류에 따른 퇴적물 오염 가능물질 168
[부록] 미국의 퇴적물에 대한 TMDL 175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