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수탁보고서 통합 국가지하수측정(관측)망 설치?운영 방안 마련 연구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내용
3. 연구 수행 체계 및 방법

제2장 국내 지하수측정(관측)망 현황
1. 지하수수질측정망 현황
1.1 지하수수질측정망 개요
2. 지하수수질측정망 설치현황
2.1 설치현황(2018년말 기준)
2.2 국가지하수질측정망 관정제원 비교o검토
3. 지하수수질측정망 운영현황
3.1 국가지하수수질측정망 측정항목 및 측정주기
3.2 국가지하수수질측정망 시료채취장비
4. 지하수 정보관리시스템 운영현황
4.1 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4.2 국가지하수정보센터 (환경부/한국수자원공사)
4.3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 (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어촌공사)

제3장 국외 지하수측정(관측)망 사례
1. 미국의 국가 지하수 모니터링 네트워크(NGWMN)
1.1 네트워크 개요
1.2 네트워크 구성
1.3 네트워크 현황
1.4 네트워크 목표
1.5 네트워크 관리
2. 유럽연합의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 네트워크
2.1 네트워크 개요
2.2 네트워크 구성
2.3 네트워크 관리
3. 미국 o 플로리다 주
4. 국내o외 지하수수질측정망 현황 비교 및 시사점

제4장 기존 지하수측정(관측)망의 문제점 및 효율적 연계o통합관리 방안
1. 국내 지하수수질측정망 현황 비교 및 문제점
1.1 지하수수질전용측정망의 모호한 역할과 자료의 활용성 미흡
1.2 오염감시전용측정망과 오염우려지역 측정망의 역할 중복
1.3 일반지역 측정망 자료의 신뢰도 미미
1.4 추진계획 대비 실적 미비
1.5 매년 증가되는 측정망 수에 따른 측정망 유지관리비 및 시료채취분석 비용 증가
2. 효율적 연계 통합o관리방안
2.1 기존관정 공동활용 방안

제5장 신규 통합지하수측정(관측)망 설치o운영 방안 및 확대계획
1. 통합지하수측정(관측)망 표준설치 및 운영기준(안)
1.1 배경수질
1.2 오염감시
2. 통합지하수측정(관측)망 구성 체계 개선(안)
3. 지하수 감시체계의 통합운영o관리방안
4. 신규 통합지하수측정(관측)망 확대계획
4.1 신규 통합지하수측정(관측)망 확대계획
4.2 신규 통합지하수측정(관측)망 2019년 우선 설치 지점(안)

제6장 「통합지하수측정(관측)망 설치o운영」 고시 개정안
1. 통합지하수측정(관측)망 중o장기 설치 및 확대 세부추진 계획(안) 마련
2. 관련 법o제도 개선(안)
2.1 추진배경
2.2 주요 제o개정내용

참고문헌
부록
1. 연구 배경 및 목적
○환경부는 「지하수법」 제18조(수질오염의 측정) 및 「지하수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제9조 (수질측정망 설치 및 수질오염실태 측정 계획의 수립o고시)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전국의 지하수수질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부 외 타 부처의 지하수 관측망을 포함한 국가지하수수질측정망을 구성, 운영하고 있음
○환경부는 「지하수법」 제18조(수질오염의 측정) 및 「지하수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제9조 (수질측정망 설치 및 수질오염실태 측정 계획의 수립o고시)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전국의 지하수수질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부 외 타 부처의 지하수 관측망을 포함한 국가지하수수질측정망을 구성, 운영하고 있음
○ 한편 물 관리 일원화 등 대내외 여건이 변화함에 따라 기존 지하수 수질 및 수량 측정(관측)망의 효율적인 통합o연계 방안 마련이 필요함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지하수측정(관측)망의 설치o운영 현황 및 기존 연구 자료 검토를 통해 문제점 및 개선과제를 도출하여 국내 지하수 환경에 최적화할 수 있는 수량 및 수질의 종합 모니터링이 가능한 통합 지하수측정(관측)망 설치o운영 방안을 제시함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