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탁연구
수시연구 수송용 에너지 전환을 위한 세제개편의 사회적 수용성 제고방안 연구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제2장 수송용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의 필요성
1. 수송부문 오염물질의 배출 현황과 특성
2. 디젤 PM으로 인한 피해
3. 수송부문 유발 환경피해비용
4. 수송용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의 필요성

제3장 수송용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 및 세제개편 현황
1. 국내 여건 및 현황
2. 해외 여건 및 현황
3. 국내외 여건 및 현황 검토의 시사점

제4장 수송용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 방향
1. 수송용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의 기본 방향
2. 수송용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의 제도 설계
3. 수송용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의 예상 효과
4. 사회적 수용성 제고방안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부록
유류세 조정에 따른 국내 신차구매 변화

참고문헌

Abstract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다각적인 해결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불안은 충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물질의 적절한 관리에 대한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를 비롯해 우리 사회 전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대기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미세먼지의 주요 배출원인 수송부문의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배출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수송부문 중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관련 정책의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자동차에서 유발되는 환경 및 사회·경제적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상대가격 조정 및 세제개편 논의가 진행된 바 있으나,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 및 사회적 수용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송부문에서 유발되는 환경문제를 내재화하기 위해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 및 사회적 수용성 제고방안을 검토하였다. 또한 에너지 상대가격의 조정을 통한 수송용 에너지의 전환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미세먼지 등의 저감 효과가 상대가격 조정을 통해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추가 유류비 부담을 줄이고 시장 신호를 분명히 전달하기 위해 단계적 상대가격 조정이 필요하며, 현행 조세 체계의 조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에너지 상대가격의 조정 시도 과정에서 특별히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소형화물차를 중심으로 정책 수용성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소형화물차 리스 사업, 한시적 자동차세 및 차량검사비 인하 방안 등을 검토하였다.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 시 사회적 수용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는 과정뿐 아니라 수송부문 가격 정책이 가지는 파급 효과를 감안하여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다룬 에너지 가격 조정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에 대한 향후 보다 면밀하게 접근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