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포스트코로나 시대… 생태환경 기반 능동적 감염병 대응체계 마련 방안은?
  • 작성일시2020-06-22 17:04
  • 조회수1,356

포스트코로나 시대

생태환경 기반 능동적 감염병 대응체계

마련 방안은?

- 생태환경적 질병관리, 수비에서 능동적 생태 기반 대응체계로 전환

-‘사람-동물-환경아우르는 한국형원 헬스체계 구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원장 윤제용)은   KEI 포커스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생태환경 기반 능동적 감염병 대응체계 마련 방안을 발간했다.

코로나19,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야생생물 매개 감염성 질병의 국내 유입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국민보건·축산·경제·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적 손실이 증가·반복되는 상황이다.

- 야생생물 매개 감염성 질병의 생태적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 가운데 관련 질병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국가보건체계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 특히 코로나19 등 최근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야생생물 매개 감염병의 증가 및 확산 주요인으로, 생태적 서식기반 훼손 및 기후변화로 인한 야생생물과의 접촉 기회 증가 등이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국내 생물자원 조사는 자연자원 현황 파악과 생물다양성 정책 수립 등 본연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계획운영되고 있는 바, 사후 대응 관리 측면에서의 제한적인 분석만 가능한 상황이며 질병의 확산, 이동경로 등에 대한 질병생태학적 관점에서의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 조류, 포유류 등 물리적 추적평가체계(조류위치추적기 등)가 가지는 불확실성과 확률적 한계성 노출되고 있다.

이에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생태환경적 질병관리는 수비전략에서 능동적 생태 기반 대응체계로의 전환과 사람-동물-환경의 공통된 생태계 건강성 유지를 통한 한국형 원 헬스체계 구축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 () 발생, () 대응의 수동적 위기대응보다 인수감염 질병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한·조절하는 능동적, 선제적, 사전예방적 대응정책이 요구된다.

- 환경보전-생물다양성 정책의 유기적 연계와 질병예방을 위한 생태기반의 평가체계 구축과 사전예방적 차원의 선순환 계절별 관리체계 및 지역맞춤형 감염병 대응관리체계 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