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지구환경정보센터
글로벌 환경뉴스 No.2019-05-1
  • 작성일시2020-05-26 16:10
  • 조회수525
           

Keywords:
폐기물, 온실가스, 기후대응, 기후위험
            

[European Union]

Study to Support the Review of Waste Related Issues in Annexes IV and V of Regulation (EC) 850/2004

글로벌환경뉴스1

잔류성대기오염물질(POP)을 포함하고 있는 폐기물을 환경적으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상세방안에 대해 관련 권위자들, 과학 기관, 문헌, 기타 전문가들의 연구를 수집, 분석, 요약하여 제안한 보고서. EU 집행위원회의 POP 관련 규정과 기타 EU 관련 법에 새로운 POP 및 잠재 POP 목록을 포함시키기 위해 필요한 조치와 그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전문 보러가기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Unlocking the Inclusive Growth Story of the 21st Century: Accelerating Climate Action in Urgent Times

글로벌환경뉴스2

대담한 기후변화대응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기회를 강조하는 국제 경제기후위원회의 보고서로, 물, 산업, 에너지 세 가지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해외개발연구소가 참여한 물 부문에 관한 보고서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가장 먼저 미치는 수계(water system)에 대한 새로운 분석을 포함하여, 기후 적응 및 기후 회복력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전문 보러가기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Global Energy Transformation: A Roadmap to 2050

글로벌환경뉴스3

각 국가들이 기후변화에 대한 책무를 이행하고 기온 상승을 제한하도록 하기 위해 즉시 활용할 수 있는, 비용 효율이 높은 방안들을 제시한 보고서. 지속 가능한 에너지 미래를 보장하기 위한 기술적 방향과 정책 영향을 상세히 포착하는 국제재생에너지기구의 통합 로드맵을 확장하여 보여주고 있다.

전문 보러가기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Global Chemicals Outlook II: From Legacies to Innovative Solutions

글로벌환경뉴스4

지속가능개발에 있어 화학물질 및 폐기물의 안전한 처리가 가지는 중요한 역할에 대해 정책입안자 및 이해당사자들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보고서. 2020년까지 화학물질 및 폐기물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 세계적 목표가 달성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하며,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더욱 적극적인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 2013년 채택된 유엔환경계획관리이사회의 결정안(27/12)과 2016년 채택된 유엔환경회의 결의안(2/7)에 대한 응답으로 쓰여졌다.

전문 보러가기

[Green Climate Fund]

Adaptation: Accelerating Action towards a Climate Resilient Future

글로벌환경뉴스5

기후재원(climate financing) 관점에서의 기후 적응 지식에 초점을 맞춘 보고서로, 기후 적응 및 기후 회복력의 차이와 관련 난제들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특히 녹색기후기금(GCF)이 여러 국가들 및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해당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는 방안들에 대해 담고 있다. 보고서의 궁극적인 목적은 더욱 성공적인 적응 투자의 설계 및 규모 확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문 보러가기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lignment to Advance: Climate-Resilient Development

글로벌환경뉴스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2030 의제, 파리협약, 센다이 프레임워크는 기후 회복탄력적 개발과 관련된 목표들을 공유하고 있다. 각 국가들이 이러한 의제들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 결정해나감에 따라, 정책과정 간 연대를 통해 일관성, 효율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회들이 존재한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연대를 정의하고, 그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전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