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인포그래픽
홍수취약지역 피해, 어떻게 경감할 수 있을까?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시2023-08-31 11:19
  • 조회수5371
홍수취약지역 피해, 어떻게 경감할 수 있을까?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내용을 참고하세요.


홍수취약지역 피해, 어떻게 경감할 수 있을까?




  • 전 세계적으로 극한강수현상의 발생빈도와 강도가 늘어난다는데...

    홍수취약지역 피해, 어떻게 경감할 수 있을까?


    원문 : <KEI 포커스> 홍수취약지역 피해경감을 위한 홍수방어목표 개선 방향




  • 지구 표면 온도는 21세기 전반에 걸쳐 상승할 것이며, 전 세계적으로 극한강수현상의 발생빈도와 강도 또한 늘어날 예정




  • 우리나라는?


    1900년 초부터 최근까지 집중호우 발생 횟수 대체로 증가


    기후변화 영향으로 인한 단기간의 국지적 집중호우 발생하여 홍수피해 규모 증가


    → 홍수방어의 최종목적이 '지역사회 침수피해의 사전 방지'라는 점을 고려할 때, 피해 저감에 초점을 맞추어 '정량적 영향평가 기반의 홍수 방어목표 설정'이 필요한 상황




  • 홍수취약지역 피해경감을 위해 필요한 것은?


    홍수의 지역별 위험도 변화 및 차이를 정량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축적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표준화된 방법론 제시


    홍수에 대한 하천별·지역별 홍수 침수피해액 산정을 포함한 홍수방어목표 개선, 법·제도기준 정비를 위한 접근




  • 본 연구에서는,



    • 홍수방어 부문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으로

      • 정량적 홍수위험분석을 통한 연평균 기대피해액 산정

      • 하천별·지역별 홍수방어목표의 차등화 기준 마련에 대하여 경제적으로 평가



    • 홍수재해에 대한 리스크 분석으로 하천의 중요도에 따른 계획 규모를 제시할 수 있는 정량적 방법 제시

    • 대규모 침수피해가 예측된 하천의 경우 홍수방어목표를 상향해야 하며, 반대로 매우 낮은 수준의 침수피해가 예상되는 하천의 경우 홍수방어 목표를 하향 조절하면 한정된 홍수방어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를 근거로 홍수방버기준 법·제도·계획의 개선방향을 도출




  • 앞으로,


    기후변화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어느 정도 반영하여 기준을 조정할 것인가, 하천 주변 제내지의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및 차이를 어떻게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반영할 것인가 등에 대한 구체적 방법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