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환경정책 지자체 국토계획 및 환경계획 통합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국토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보전이 조화될 수 있도록 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환경계획을 통합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o국토계획 및 환경계획의 통합관리에 관한 공동훈령o(이하, 공동훈령)이 2018년에 제정 및 시행되었다. 이로 인해 국토계획 및 환경계획의 통합관리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된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선행연구에서는 지자체 도시계획과 환경계획이 서로의 계획을 통합 및 연계하였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도시계획과 환경계획 통합관리 제도가 잘 이행되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 통합관리 정책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35개 기초 및 광역 지자체를 선정하여 국토계획(도종합계획, 도시기본계획)과 환경계획을 검토하고 계획수립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4개의 우수 지자체를 선정하여 계획수립 담당자와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지자체 단위 도시계획과 환경계획 수립부터 이행 전 과정에서 통합관리 이행은 미비한 상황이며, 이행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도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는 향후 국토-환경계획 통합관리 정책의 방향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핵심주제어] 통합관리, 환경계획, 도시계획, 국토계획, 환경정책, 공동훈령
The “Joint Directive on Integrated Management of National Land Plans and Environmental Plans” was enacted and implemented in 2018 to integrate and manag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land and environmental plans, ensuring harmony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stablishing an institutional framework for integrated management.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the difficulty in concluding whether local governments' urban and environmental plans have been effectively integrated and linked.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urban and environmental plan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to propose improvements to this policy. To this end, 35 basic and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were selected, and land (regional comprehensive plans and urban master plans) and environmental plans were reviewe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officials responsible for plan development,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planners from four exemplary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show that integrated management throughou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urban and environmental plan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remains insufficient, highlighting the urgent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enhance enforcement. These findings are significant as they provide valuable policy insights for advancing the future direction of integrated land and environmental pl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