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정책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가 생태계 표준관측망의 필요성 및 구축 방안
- 연구진안지애
-
발간일
2024-09-30
최근 들어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변화 관측·모니터링을 통한 데이터 기반의 기후위기 대응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국가장기생태연구 등 생태계 변화 관측 연구가 일부 수행되기는 했으나 국외 선진사례와 비교하여 규모와 수준이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선진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생태계 표준관측망을 구축하고 표준화된 방법을 통해 종합적인 장기 관측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를 축적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 생태계 표준관측망의 개념과 기능을 정립하고 국내 상황에 맞는 구축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국외 사례 조사를 통한 국내 적용 시사점과 국내 여건을 고려할 때 관측기지는 5개소 내외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표준관측망은 종합생태관측기지, 일반생태관측소, 이동식생태관측플랫폼 등 세 개 관측소 유형으로 구성하고 유형별로 적절한 관측항목을 선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체 데이터 포털 구축을 통해 기존의 생태조사 연구 및 통합정보관리시스템과 연계하고 데이터의 활용성을 제고하여 정책 근거 및 국제 대응 자료로 활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핵심주제어] 기후변화, 생태계, 모니터링, 관측망
[핵심주제어] 기후변화, 생태계, 모니터링, 관측망
Recently, monitoring ecosystem changes due to climate change and responding with data-driven strategies are increasingly important. Although Korea has conducted some ecosystem change studies, such as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the scale remains limited compared to advanced international efforts. With this in mind, building research infrastructure by benchmarking advanced cases and conducting standardized, comprehensive long-term observations is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and function of the national ecosystem observation network, and presented a construction plan. Considering the application implications through overseas case studies and domestic conditions, five observation sites would be appropriate. A Korean ecosystem observation network tailored to domestic conditions should be established, comprising comprehensive, general, and mobile ecological observation stations. Lastly, linking this data with existing ecological research an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s with an own data portal will enhance data utilization, supporting policy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climate issues.
[Key Words] Climate Change, Ecosystem, Monitoring, Observation Network
[Key Words] Climate Change, Ecosystem, Monitoring, Observation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