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환경정책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 및 처리방법에 따른 탄소배출량 비교 분석

최근 해양으로 다양한 폐기물이 배출되어 해양오염이 더욱 더 심각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관련 규제를 강화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세부계획 수립 및 대안이 제시되지 않아 해당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 국가 모니터링 자료에 따르면 7년간 평균 전체 폐기물 발생량 중에 플라스틱 폐기물이 53.5% 이상으로 가장 비율이 높고, 이는 다양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범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해 발생량을 예측하여 탄소배출량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가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통계를 기반으로 물질별 비율을 산출하고, 실제 수거된 해양 폐기물과 매칭시켰다. 이후 추세선을 활용하여 향후 5년간의 플라스틱 폐기물량을 예측하고, LCA를 통해 재활용과 소각시 각각 탄소배출량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2023년부터 향후 5년간의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 수거량은 총 461,156 ton으로 예측되었다. 각 물질별로 탄소배출량 산정 후 재활용과 소각을 비교하였을 때, 연간 약 3.35E+05 ton/CO2까지 감축이 가능하였다. 해당 수치는 30년생 소나무가 연간 서울시의 1/2 면적 및 여의도 면적에 약 36.6배 정도의 탄소를 흡수하는 양와 같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해양폐기물 수거이후 재활용의 중요성과 탄소중립에 대한 해양정책수립 기초 자료 및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주제어] 해양 폐기물,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 전과정평가
Increasingly significant amounts of waste are being dumped into the sea, with marine pollution becoming an ever more serious global issue. However, despite the strengthening of related laws in Korea, the problem is proving difficult to resolve, with detailed plans and alternatives yet to be proposed. According to national monitoring data, on average plastic waste accounts for more than 53.5% of all Korea’s environmental pollution over the past seven years. Accordingly, we conducted a study on current levels of marine plastic waste to predict how much it would increase over the next five years. Based on national coastal waste monitoring statistics, the ratio of each material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real levels of collected coastal waste. Afterward, the trend line was used to predict the amount of plastic waste for the next five years, with carbon emission levels from recycling and incineration calculated through LC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tal amount of marine plastic waste collected over the five years beginning from 2023 was predicted to be 461,156 tons. After calculating the carbon emissions for each material and comparing those of recycling and incineration, it was deemed possible to reduce emissions by about 3.35E+05 tons/CO2 per year. This figure is equivalent to the amount of carbon that could be absorbed by an area of pine trees half the size of Seoul and about 36.6 times the size of Yeouido in one year.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a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