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환경정책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벌채 이슈의 언론보도 프레임 변화와 담론분석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벌채 관련 주요 주제를 도출하고 2021년 벌채 이슈에 대한 언론보도의 프레임 변화와 쟁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6월부터 2023년 5월까지 빅카인즈에서 제공하는 벌채 관련 기사 총 3,226건을 대상으로 주요 주제를 비교 분석하고, 2021년 벌채 이슈 관련 기사 154건을 이용하여 주요 언론사별 프레임 변화와 담론을 도출하였다. 벌채 관련 기사에서 언급된 주요 주제는 ‘산림경영’, ‘산림재해’,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 ‘불법 벌채 및 사고’로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특히, 산림재해와 기후변화에 관한 주제는 4년 동안 지속해서 등장하였다. 벌채 정책 사안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이해관계로 해결될 수 있는 ‘정책이견’을 넘어서는 ‘정책분쟁’ 성격을 지니며, 이해당사자 사이의 가치관과 관념의 차이를 극복하는 것이 정책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 쟁점이었다. 벌채 이슈 초기 일부 언론은 ‘탈원전’, ‘태양광 발전’ 키워드를 강조하며 정치적 프레임을 이용하여 이슈를 대중에게 확대 노출시켰다. 벌채 이슈를 통해 벌채 정책이 산림순환경영을 위한 친환경 목재수확으로 변경됨에 따라 산림 산업에 종사하는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관련 법 개정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에 관한 이슈가 지속해서 쟁점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발견은 벌채 문제에 대한 합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정책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핵심주제어] 미디어 프레이밍, 이해관계자, 정책분쟁, 의미연결망분석, 담론분석
Through text mining, this study identified key themes related to logging and analyzed the changes in media coverage frames and issues concerning logging in 2021. For this purpose, a comparative analysis of major theme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226 logging-related articles provided by BigKinds from June 2019 to May 2023, and the changes in the framing and discourse of 154 2021 articles related to logging were extracted by examining coverage from major media sources. The major themes mentioned in the logging-related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orest management', 'forest disasters', 'climate change and carbon neutrality', and 'illegal logging and accidents' with the themes of 'forest disasters' and 'climate change' consistently appearing over the four years. The issue of logging policy transcends 'policy disagreement', which can be resolved through rational and reasonable stakeholder interests, instead embodying the nature of 'policy controversies', where overcoming differences in values and concepts among stakeholders is crucial for resolving policy problems. Initially, certain media outlets used political frames to amplify the issue to the public by emphasizing keywords such as 'nuclear phase-out' and 'solar power generation'. The issue of logging, through its evolution into environmentally friendly wood harvesting for sustainable forest cycle management, has continuously sparked debate over economic losses resulting from related legislative changes a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