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환경정책 기후위기 위험 인식과 대응 행동 의도 간 감정적 반응의 매개효과

한국인의 경우 대부분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개인의 적극적인 실천과 정책 수용의 변화로까지는 이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한국인의 높은 위험 인식이 실제 대응 행동으로 이어지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기초로, 인지적 평가이론을 적용하여 위험에 대한 감정적 반응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인식과 행동 사이 감정적 반응의 유의한 매개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주로 공포o불안을 통해 인식이 행동 의도에 간접 영향을 미쳤는데, 사회적 대응 행동 모형에서는 희망의 매개 효과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인의 실천 유도가 주 목적인 교육이나 소통의 장에서는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드러내는 감정 소구 메시지를 활용하고,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장에서는 기후변화가 심각한 문제임은 사실이나 정책을 통한 극복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희망 소구 메시지를 함께 활용해야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한국인의 기후변화 인식과 행동 사이 간극을 감정이라는 심리적 맥락을 통해 새롭게 설명하며, 인식이 행동으로 이어지는 데 감정이 자극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

[핵심주제어] 기후위기, 위험 인식, 인지적 평가이론, 감정적 반응, 커뮤니케이션
bstract: Most Koreans are known to be highly aware of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but it does not lead to changes in individual active practice and policy acceptan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emotional response to risk by the applying cognitive appraisal theory, based on a question why Koreans’ high risk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is showing limitations in leading to actual responding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udy,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response between perception and behavior was found. Perce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fear and anxie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was also confirmed in the social response behavior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effective to use emotional appeal messages that reveal the risk of climate change in the field of education or communication where individual action is the main purpose, while it is effective to use a hope appeal message that serious climate change can be overcome through matching policies in order to promote policy support for climate change in spite of its seriousness. This study explains once more the gap between Koreans’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and behavior through the psychological context of affective response, and is meaningful in confirming that emotion acts as a stimulus to the perception leading to action.

[Key Words] Climate Crisis, Risk Perception, Cognitive Appraisal Theory, Affective Response, Communication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