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환경정책 우리나라 국민의 환경인식, 환경태도, 환경실천 현황 및 구조적 관계성 분석 : 국민환경의식조사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2012∼2017년 국민환경의식조사 통합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환경인식 변화를 살펴보고, 친환경행동에 대한 태도 및 환경실천과 개인o사회적 특성 간의 상관성을 검토하였으며, 환경지식-환경의식(환경중요도, 환경태도)-환경행동 가설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우리나
라 국민의 환경에 대한 인식은 접근 가능한 환경정보의 부족, 보통수준의 환경만족도/환경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환경관심도로 요약할 수 있다. 환경의식 및 환경행동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요인은 성별, 연령, 결혼여부, 가계소득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친환경행동과, 사회적 계층은 환경관심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적 관계성 분석결과, 환경정보-환경중요도-환경실천 및 환경중요도-환경태도-환경실천 경로가 주요 연결고리로 확인되었으나, 환경의식과 친환경행동 간에는 여전히 간극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핵심주제어] 국민환경의식조사, 환경인식, 환경태도, 환경실천, 구조방정식
This study uses the survey data collected between 2012o2017 to examine the trends and relationships among Koreans’ percep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the environment. The Korean public responded that they did not have enough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quality (2.65 on a 5-point scale) and showed a slight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toward the general state of the environment (3.08 points). Gender, age, and household income are three main characteristics correlating with the subjectiv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and eco-friendly behaviors. We found that education level and social status affect eco-friendly behaviors and interests toward the environment, respectively. From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data confirmed two pathways: 1) the path between environmental information, subjectiv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behaviors, and 2) the subjectiv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attitudes, and environmental behaviors. Howeve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still a gap betwee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nvironmental behaviors.

[Key Words] Public Survey on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Perception, Environmental Awareness, Environmental Behaviors, Structural Equation Model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