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환경정책
환경정책 폭염 시 위험지역과 취약계층 거주지역 간의 공간관계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폭염노출 위험지역과 취약계층 거주지역간의 공간 관계를 해석하여 폭염에 가장 취약한 지역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충북 청주시를 대상으로 취약계층 거주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집계구 단위에서 찾아내고, 폭염지도를 생성한 후, 폭염노출 위험 수준과 취약계층 거주가능성간의 공간관계를 해석하였다. 세부적으로 1) 신체적 취약요인, 생활여건 취약요인, 경제적 취약요인에 해당하는 9개의 변수를 선정한 후 지도화하였다. 2) SOLWEIG 모델을 이용하여 평균복사온도 분포를 산출하고 10m 격자 단위의 폭염지도를 생성하였다. 3) 국지적 공간자기상관 분석을 활용하여 폭염위험이 높으면서 취약계층에 의한 취약성도 높은 집계구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구도심에 위치한 집계구들이 폭염위험이 높은 동시에 취약계층 거주가능성이 높았으며, 공간적으로도 밀집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검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폭염위험에 노출된 취약계층의 정책 체감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주제어] 폭염지도, SOLWEIG 모델, 공간자기상관분석, 밀집도, 집계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areas most vulnerable to heat waves by interpreting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ial area of vulnerable groups and the hazardous area during the heat wave. For this purpose, nine vulnerability variables relating to physical condition, living conditions, and economic status were selected and mapped within the city of Cheongju, located in Chungbuk Province, South Korea. During the heat wave, the distribution of the average radiant temperature was mapped in 10m grid units using the SOLWEIG model. A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census output areas (COAs) with a high risk of heat waves and large populations of vulnerable group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As located in the old city center were at high risk for heat waves and highly likely to be inhabited by vulnerable groups. Additionally,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se COAs were concentrated spati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nvironmental policy sentiment of vulnerable groups exposed to the risk of heat waves.

[Key Words] Heat-Wave Map, SOLWEIG Model,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Density, Census Output Area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