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
아시아지역 홍수 회복력 분석 및 국내 평가지표 개발 연구
- 저자 정기철
- 연구진 김수홍;강형식;Ghimire, Uttam
-
발간일
2024-03-31
Executive Summary
1. Introduction
1.1 Flood risks under climate change
1.2 Objectives of the study
1.3 Concept and content
2. Analysis of Flood Resilience in Asia
2.1 Current trends and active projects
2.2 Case study 1: Community flood resilience
2.3 Case study 2: Scale-based flood resilience index
2.4 Implications
3. Assessment of Flood Resilience in Selected Asian Countries
3.1 Flood-prone countries and urban resilience
3.2 Case study: Flood resilience assessment in selected countries
3.3 Governance of floods and disasters
3.4 SWOT analysis of flood resilience policies
4. Building National Flood Resilience Indicators
4.1 Selection of flood resilience indicators
4.2 Selection of pilot areas
4.3 Data collection
5. Evaluating and strengthening flood Resilience
5.1 Analysis of flood resilience indicators
5.2 Multicollinearity and AHP analysis
5.3 Direction of flood resilience improvement efforts
6. Conclusion
References
Executive Summary in Korean
1. Introduction
1.1 Flood risks under climate change
1.2 Objectives of the study
1.3 Concept and content
2. Analysis of Flood Resilience in Asia
2.1 Current trends and active projects
2.2 Case study 1: Community flood resilience
2.3 Case study 2: Scale-based flood resilience index
2.4 Implications
3. Assessment of Flood Resilience in Selected Asian Countries
3.1 Flood-prone countries and urban resilience
3.2 Case study: Flood resilience assessment in selected countries
3.3 Governance of floods and disasters
3.4 SWOT analysis of flood resilience policies
4. Building National Flood Resilience Indicators
4.1 Selection of flood resilience indicators
4.2 Selection of pilot areas
4.3 Data collection
5. Evaluating and strengthening flood Resilience
5.1 Analysis of flood resilience indicators
5.2 Multicollinearity and AHP analysis
5.3 Direction of flood resilience improvement efforts
6. Conclusion
References
Executive Summary in Korean
1. 서론
o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위험성
ㅇ 기후변화는 단순히 예측하는 데 그치지 않고 대처해야 하는 현실이 되었음
ㅇ 기후는 오랜 시간에 걸쳐 변화해 왔지만, 최근 기후변화의 속도는 현저히 빨라지고 있음
ㅇ 아시아지역의 홍수 위험성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심각해지고 있으며 지역적 특성 및 기후 조건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를 동반함
ㅇ 기온 상승과 지역적 특성이 결합하면서 아시아 전역에서 홍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음. 기후변화로 인한 다양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홍수회복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함
o 연구 목적
ㅇ 본 연구의 목적은 아시아지역의 홍수회복력 관련 연구 사례를 조사하고, 일부 아시아지역의 홍수복원력 지표와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임
ㅇ 또한, AHP 분석을 기반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홍수회복력 지표를 제시하고자 함.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국내 홍수회복력 지표는 홍수 위험 지역으로 지정된 여러 지자체의 홍수 피해 복구 능력을 평가한 것임
o 개념 및 내용
ㅇ 홍수회복력은 홍수의 전 과정에서 지역사회와 인프라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영향을 완화하고, 홍수로부터 회복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음
ㅇ 본 연구에서는 홍수회복력의 특징을 4가지(가외성, 내구성, 신속성, 자원동원력)로 요약함
ㅇ 홍수회복력을 강화하면 지역사회 차원에서 홍수 피해를 완화하고, 복구하는 동시에 이후의 홍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음
ㅇ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홍수회복력 특성, 아시아지역의 홍수회복력 분석 및 검토, 국내 홍수회복력 지표 개발 및 적용 평가로 구성되어 있음
2. 아시아지역의 홍수회복력
o 홍수회복력 관련 트랜드, 프로젝트
ㅇ 아시아지역의 홍수에 관한 관심은 꾸준히 있었으며, ‘회복력’과 ‘홍수회복력’에 대한 관심도 점차 증가함
ㅇ 2011년 1월부터 2023년 7월까지 아시아에서 수행된 아시아지역의 홍수회복력 프로젝트를 조사함
o 사례연구 1: 지역사회 홍수회복력
ㅇ 아시아개발은행(ADB)에서 수행한 아시아지역의 홍수회복력 관련 연구를 조사함
ㅇ 홍수회복력을 평가하기 위해 재정 회복 기간과 사회·경제적 상황을 추정하는 등급 시스템을 도입함
ㅇ 전반적으로 도시 지역은 농촌지역보다 홍수회복력 점수가 높게 나타남
o 사례연구 2: 스케일 기반의 홍수회복력 평가
ㅇ 사례 2의 목표는 홍수 발생과 발생 이후 도시와 농촌지역에 미치는 모든 지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평가하는 것임
ㅇ 아시아지역의 다양한 연구 지역에서 건물, 블록 및 도시 규모에서 홍수회복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함
ㅇ 홍수회복력은 도시와 농촌지역의 개별적 특성이 아닌 홍수와 지역적 특성의 결합으로 나타남
o 시사점
ㅇ 아시아 전역의 홍수회복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야 함
ㅇ 종합적인 홍수회복력 지표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에 적합한 홍수회복력 지표 개발을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함
3. 일부 아시아지역의 홍수회복력 평가
o 홍수취약국가와 도시회복력
ㅇ 홍수회복력 분석을 위해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홍수 취약 국가를 식별함
ㅇ
o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위험성
ㅇ 기후변화는 단순히 예측하는 데 그치지 않고 대처해야 하는 현실이 되었음
ㅇ 기후는 오랜 시간에 걸쳐 변화해 왔지만, 최근 기후변화의 속도는 현저히 빨라지고 있음
ㅇ 아시아지역의 홍수 위험성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심각해지고 있으며 지역적 특성 및 기후 조건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를 동반함
ㅇ 기온 상승과 지역적 특성이 결합하면서 아시아 전역에서 홍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음. 기후변화로 인한 다양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홍수회복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함
o 연구 목적
ㅇ 본 연구의 목적은 아시아지역의 홍수회복력 관련 연구 사례를 조사하고, 일부 아시아지역의 홍수복원력 지표와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임
ㅇ 또한, AHP 분석을 기반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홍수회복력 지표를 제시하고자 함.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국내 홍수회복력 지표는 홍수 위험 지역으로 지정된 여러 지자체의 홍수 피해 복구 능력을 평가한 것임
o 개념 및 내용
ㅇ 홍수회복력은 홍수의 전 과정에서 지역사회와 인프라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영향을 완화하고, 홍수로부터 회복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음
ㅇ 본 연구에서는 홍수회복력의 특징을 4가지(가외성, 내구성, 신속성, 자원동원력)로 요약함
ㅇ 홍수회복력을 강화하면 지역사회 차원에서 홍수 피해를 완화하고, 복구하는 동시에 이후의 홍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음
ㅇ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홍수회복력 특성, 아시아지역의 홍수회복력 분석 및 검토, 국내 홍수회복력 지표 개발 및 적용 평가로 구성되어 있음
2. 아시아지역의 홍수회복력
o 홍수회복력 관련 트랜드, 프로젝트
ㅇ 아시아지역의 홍수에 관한 관심은 꾸준히 있었으며, ‘회복력’과 ‘홍수회복력’에 대한 관심도 점차 증가함
ㅇ 2011년 1월부터 2023년 7월까지 아시아에서 수행된 아시아지역의 홍수회복력 프로젝트를 조사함
o 사례연구 1: 지역사회 홍수회복력
ㅇ 아시아개발은행(ADB)에서 수행한 아시아지역의 홍수회복력 관련 연구를 조사함
ㅇ 홍수회복력을 평가하기 위해 재정 회복 기간과 사회·경제적 상황을 추정하는 등급 시스템을 도입함
ㅇ 전반적으로 도시 지역은 농촌지역보다 홍수회복력 점수가 높게 나타남
o 사례연구 2: 스케일 기반의 홍수회복력 평가
ㅇ 사례 2의 목표는 홍수 발생과 발생 이후 도시와 농촌지역에 미치는 모든 지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평가하는 것임
ㅇ 아시아지역의 다양한 연구 지역에서 건물, 블록 및 도시 규모에서 홍수회복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함
ㅇ 홍수회복력은 도시와 농촌지역의 개별적 특성이 아닌 홍수와 지역적 특성의 결합으로 나타남
o 시사점
ㅇ 아시아 전역의 홍수회복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야 함
ㅇ 종합적인 홍수회복력 지표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에 적합한 홍수회복력 지표 개발을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함
3. 일부 아시아지역의 홍수회복력 평가
o 홍수취약국가와 도시회복력
ㅇ 홍수회복력 분석을 위해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홍수 취약 국가를 식별함
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