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
습지의 탄소중립 기여 증진 방안 연구
- 저자 명수정
- 연구진 강성원;임정철;Finlayson, Colin Maxwell
-
발간일
2023-12-31
Executive Summary
1. Introduction
1.1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1.2. Scope and promotion system of research
2. Land-based Carbon Sink and Wetland
2.1 Land-based GHG emissions and wetland
2.2 Ecosystem service and the value of wetland
3. Wetlands in Climate Change Mitigation
3.1 Wetlands and GHG Wetland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3.2 Climate change response and NIR methodology
4. Harnessing Wetland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4.1 Land-based carbon sinks
4.2 Promoting wetland usage for carbon neutrality
5. Conclusions
References
Appendix A: Cases of Wetland Classification Schemes
Appendix B: Ramsar Sites in South Korea
Appendix C: Draft Amendment to the Inland Wetlands Sector of South Korea National Greenhouse Gas Statistics Measuring, Reporting and Verification Guideline
Executive Summary in Korean
1. Introduction
1.1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1.2. Scope and promotion system of research
2. Land-based Carbon Sink and Wetland
2.1 Land-based GHG emissions and wetland
2.2 Ecosystem service and the value of wetland
3. Wetlands in Climate Change Mitigation
3.1 Wetlands and GHG Wetland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3.2 Climate change response and NIR methodology
4. Harnessing Wetland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4.1 Land-based carbon sinks
4.2 Promoting wetland usage for carbon neutrality
5. Conclusions
References
Appendix A: Cases of Wetland Classification Schemes
Appendix B: Ramsar Sites in South Korea
Appendix C: Draft Amendment to the Inland Wetlands Sector of South Korea National Greenhouse Gas Statistics Measuring, Reporting and Verification Guideline
Executive Summary in Korean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o전 지구적인 기후변화 심화에 따라 자연기반의 흡수원 활동을 통한 탄소중립 목표 달성의 시급성 대두
ㅇ산림처럼 습지와 같은 흡수원을 활용한 탄소중립 대응 필요
-그간의 탄소 흡수원 관련 연구와 정책은 주로 산림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습지, 특히 내륙습지에 대한 국내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음
-이에 따라 국가 고유의 내륙습지 관련 배출·흡수계수 개발이나 국가 상황이 반영된 활동자료가 구축되지 못함
o탄소중립 대응에 있어 습지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기초 연구 추진 필요
ㅇ산림처럼 바이오매스와 토양 등 탄소저장고를 가지는 습지도 탄소흡수원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정확도 높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과 이를 보완·강화할수 있는 제도 도입 등 관련 여건 마련 필요
-흡수원으로서 습지 조성 및 습지활용 증진 방안을 모색 필요
Ⅱ. 습지 현황과 습지의 생태계서비스
1. 습지의 현황
o 습지의 유형과 분류
ㅇIPCC는 습지를 연중 또는 일시적으로 물로 포화되거나 덮여있는 지역으로 정의하며, 이탄습지, 침수지, 기타습지로 분류함
o습지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빠른 속도로 훼손 혹은 소실되어 옴
ㅇ우리나라는 개발 위주의 국토 이용으로 내륙과 연안지역의 습지가 모두 빠른 속도로 사라져왔음
-내륙습지의 경우 2000년대 이후 특히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연안습지의 경우 최근 블루카본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나 내륙습지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한 실정
-본 연구는 습지 중에서도 내륙습지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함
2. 습지의 생태계서비스와 가치
o습지는 비록 지표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작으나 탄소 저장과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 그 가치가 높음
ㅇ습지는 지표의 약 5-8% 면적을 차지하지만 전체 토양 유기탄소의 33%를 차지하는 중요한 저장고
-습지는 탄소흡수뿐 아니라 자연재해 저감과 식량 공급한 문화 형성 등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함
o습지는 다양한 생태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가치를 지님
ㅇ내륙습지는 연안습지와 더불어 특히 가치가 높은 생태계로 분류됨
Ⅲ. 온실가스와 탄소 흡수원으로서의 습지 생태계
1. 습지와 온실가스 인벤토리
o 습지는 자연기반의 흡수원으로서 탄소중립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할수 있음
o 그러나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온실가스 배출 산정법에 따라 습지는 배출원으로만 간주되고 있음
ㅇ습지는 모두 침수지로 간주되기 때문에 습지는 배출원으로 분류될 수밖에 없음
ㅇ우리나라는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상 내륙습지를 구거, 유지, 영어장만 습지로 간주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여 내륙습지는 흡수원이 아니라 배출원으로 간주되어 왔음
-습지에 대한 활동자료 미비로 구거, 유지, 양어장만을 침수습지로 간주하여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작성함에 따라 탄소를 저장하는 식생과 토양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배출원으로 간주됨
2. 습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의 개선
o우리나라 실제 습지 현황을 반영한 온실가스 배출·흡수량 산정방법 개선이 필요함
ㅇ실제 현장에서 습지는 목본 및 초본과 같은 식생이 존재하는 습지가 상당한 면적이 존재함을 고려하여 온실가스 산정 방법론 개선
-본 연구는 침수지뿐 아니라 탄소저장고인 목본 및 초본형의 습지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o전 지구적인 기후변화 심화에 따라 자연기반의 흡수원 활동을 통한 탄소중립 목표 달성의 시급성 대두
ㅇ산림처럼 습지와 같은 흡수원을 활용한 탄소중립 대응 필요
-그간의 탄소 흡수원 관련 연구와 정책은 주로 산림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습지, 특히 내륙습지에 대한 국내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음
-이에 따라 국가 고유의 내륙습지 관련 배출·흡수계수 개발이나 국가 상황이 반영된 활동자료가 구축되지 못함
o탄소중립 대응에 있어 습지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기초 연구 추진 필요
ㅇ산림처럼 바이오매스와 토양 등 탄소저장고를 가지는 습지도 탄소흡수원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정확도 높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과 이를 보완·강화할수 있는 제도 도입 등 관련 여건 마련 필요
-흡수원으로서 습지 조성 및 습지활용 증진 방안을 모색 필요
Ⅱ. 습지 현황과 습지의 생태계서비스
1. 습지의 현황
o 습지의 유형과 분류
ㅇIPCC는 습지를 연중 또는 일시적으로 물로 포화되거나 덮여있는 지역으로 정의하며, 이탄습지, 침수지, 기타습지로 분류함
o습지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빠른 속도로 훼손 혹은 소실되어 옴
ㅇ우리나라는 개발 위주의 국토 이용으로 내륙과 연안지역의 습지가 모두 빠른 속도로 사라져왔음
-내륙습지의 경우 2000년대 이후 특히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연안습지의 경우 최근 블루카본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나 내륙습지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한 실정
-본 연구는 습지 중에서도 내륙습지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함
2. 습지의 생태계서비스와 가치
o습지는 비록 지표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작으나 탄소 저장과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 그 가치가 높음
ㅇ습지는 지표의 약 5-8% 면적을 차지하지만 전체 토양 유기탄소의 33%를 차지하는 중요한 저장고
-습지는 탄소흡수뿐 아니라 자연재해 저감과 식량 공급한 문화 형성 등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함
o습지는 다양한 생태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가치를 지님
ㅇ내륙습지는 연안습지와 더불어 특히 가치가 높은 생태계로 분류됨
Ⅲ. 온실가스와 탄소 흡수원으로서의 습지 생태계
1. 습지와 온실가스 인벤토리
o 습지는 자연기반의 흡수원으로서 탄소중립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할수 있음
o 그러나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온실가스 배출 산정법에 따라 습지는 배출원으로만 간주되고 있음
ㅇ습지는 모두 침수지로 간주되기 때문에 습지는 배출원으로 분류될 수밖에 없음
ㅇ우리나라는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상 내륙습지를 구거, 유지, 영어장만 습지로 간주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여 내륙습지는 흡수원이 아니라 배출원으로 간주되어 왔음
-습지에 대한 활동자료 미비로 구거, 유지, 양어장만을 침수습지로 간주하여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작성함에 따라 탄소를 저장하는 식생과 토양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배출원으로 간주됨
2. 습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의 개선
o우리나라 실제 습지 현황을 반영한 온실가스 배출·흡수량 산정방법 개선이 필요함
ㅇ실제 현장에서 습지는 목본 및 초본과 같은 식생이 존재하는 습지가 상당한 면적이 존재함을 고려하여 온실가스 산정 방법론 개선
-본 연구는 침수지뿐 아니라 탄소저장고인 목본 및 초본형의 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