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기 체류 기후변화 유발물질인(SLCPs: Short Lived Climate Pollutants) 메탄은 금세기 기후 완화 정책의 핵심 대상 물질이다. 그러나 메탄의 다양한 배출원과 배출과정은 배출목록 및 배출량 산정 시 큰 불확도를 내포하기 때문에 메탄의 배출량에 대한 과학적 검증(측정o감시o보고o검증(MMRV: Measurement, Monitoring, Reporting, Verification))은 메탄 감축 정책을 위한 핵심 요소이다. 본고는 메탄 관측위성(TROPOMI)의 메탄 컬럼농도자료와 국내 지역별 주요 메탄 배출 관련 지표(proxy)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의 메탄 농도 분포와 고농도 지역의 주요 배출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내 메탄 고농도 지역은 주로 벼농사(경기, 충남, 전북, 전남)와 폐기물 매립(내륙 도시 및 산업단지), 그리고 일부 항만의 주요 산업단지(군산, 여수 등)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자체별로 메탄 감축의 우선순위에 차별성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국가 온실가스 지역 배출정보의 고도화를 위해 반영해야 할 사항이다. 또한 정부의 메탄 배출목록은 국제기구의 글로벌 메탄 배출목록에 비해 하폐수 등 관련 메탄 배출의 누락/저평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문별로 상세한 국내 배출계수의 고도화와 함께 다양한 비점오염원에 대한 정교한 관측 기반의 배출정보 고도화로 잠재적 누락 배출원을 검증o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