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후변화 대응과 국가결정기여(NDC) 목표 달성이 시급해짐에 따라 온실가스의 배출 감축뿐만 아니라 자연기반 흡수원을 이용한 탄소중립 달성의 중요성도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 습지는 온실가스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기능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내륙습지는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에서 그간 온실가스 배출원으로 산정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습지의 생태계서비스와 가치, 특히 탄소 흡수 기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내륙습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IPCC 가이드라인과 우리나라의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 지침에서 내륙습지의 온실가스 배출·흡수량 산정법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내륙습지의 온실가스 흡수 기능이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산정 지침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습지의 보호와 훼손된 습지의 복원 및 인식 증진 등 습지의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도모하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