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기초연구 메타버스를 활용한 국민체감형 기후변화 대응 방안 마련

Ⅰ. 메타버스 플랫폼 및 활용사례 분석
1. 메타버스 소개
2. 국외 메타버스 활용 동향 및 사례
3. 국내 메타버스 활용 동향 및 사례

Ⅱ.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 교육 현황 분석
1. 국외 기후변화 대응 교육 현황
2. 국내 기후변화 대응 교육 현황
3. 국내 기후변화 대응 교육의 한계점

Ⅲ. 메타버스를 활용한 국민체감형 기후변화 대응 방안 마련
1. 국민체감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 교육의 제도적 개선
2.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 콘텐츠 마련
3. 시사점

참고문헌
□ 연구의 필요성
○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의 빈도 및 강도 증가에 따라 기후변화 영향이 커져가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국민 체감도 상승하고 있음. 기후변화에 대한 교육 강화와 함께 일상생활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기후위기에 적응할 수 있는 국민체감형 기후변화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임
○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활동이 요구되고, 3차원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메타버스를 연계한 기후변화 대응 컨텐츠를 마련하여 국민의 체감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함

□ 연구의 주요 내용
○ 메타버스는 게임, 교육, 마케팅 홍보, 공연 및 행사, 정치운동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트윈 기반 메타버스는 관광 및 도시문제 전반을 해결하기 위해서 활용되고 있음
○ 국외 기후변화 대응 교육 현황은 이탈리아, 영국, 대만의 경우 의무교육에 포함되어 있고, 독일의 경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다양한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주별로 교육과정에 통합형 환경교육으로 반영되어 이뤄지고 있음
○ 국내 기후변화 대응 교육 현황은 정규교육, 기후변화 대응 중점학교, 지자체별 및 기관별 환경교육 등에서 이뤄지고 있음. 그러나 기후변화 관련 전문 교육 인력이 부족하고, 기후변화 대응 참여 실천은 미흡하며, 기후변화 교육의 대상별, 지역별, 취약계층의 불균형이 발생되고 있음
○ 국민체감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 교육을 위해서 제도적 강화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 교육을 확대하고 교육 대상별, 지역별, 취약계층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지원 및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 컨텐츠로 기후변화 박물관, 게임 형식의 기후변화 대응 실천 방안, 기후변화 취약지역과 디지털 트윈 기술의 접목, 그리고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후변화 타운조성 등을 제시함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