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사업보고서 북한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생태환경 정보 구축 및 변화 분석(II)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내용

제2장 북한 생태환경 현황 및 정보 구축
1. 종분포모델을 통한 주요 종 잠재서식지 분석
2. 주요 생태공간 현황 및 생물서식지 적합성 평가
3. 북한 탄소저장량 변화 분석 및 전망

제3장 북한 개발계획 현황 및 생태환경 영향 분석
1. 북한 주요 개발계획 현황
2. 개발계획이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4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o 본 연구의 목적
ㅇ 본 연구에서는 남북협력사업 추진 시 친환경적 개발의 유도를 위해 선제적으로 북한의 자연생태환경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모델링 기법 등을 활용하여 필요한 자료를 구축·제공하고자 함. 또한 북한지역에서 개발사업을 추진할 경우, 개발유형별로 사업 실행 단계에서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도출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함

2. 연구 범위와 내용
o 북한의 자연생태환경, 인프라, 경제특구 등 공간정보화
ㅇ북한 산줄기, 하천 중권역도, 북한의 철도·도로 및 특구 등의 자연환경과 개발 현황을 공간정보화함. 주요 생물종 잠재서식지, 생물서식지 적합성 및 탄소저장량을 시·군별로 변화 정도를 분석하고 자연환경의 현황을 자료화함
ㅇ모델링 및 시나리오 분석에는 InVEST Scenario Generator Model(3.8.0), InVEST Habitat Quality Model(3.8.0), InVEST Carbon Storage Model(3.8.0), Graphab v.2.6.4, R ver3.14 dismo package를 활용함

Ⅱ. 북한 생태환경 현황 및 정보 구축
1. 종분포모형을 통한 주요 종 잠재 서식지 분석
o 멸종위기야생생물의 북한지역 잠재서식지 예측에는 출현자료만으로 종분포모델을 수행할 수 있는 MaxEnt 알고리즘을 사용함. MaxEnt 알고리즘은 R ver3.14 환경에서 dismo package로 구현함. 모델의 정확성은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 Curve)의 AUC(Area Under the Curve)로 평가하였고, 9개 생물종 모두 0.80 이상으로 모델 정확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

2. 주요 생태공간 현황 및 생물서식지 적합성 평가
o 북한 산줄기 분석 및 구축
ㅇ 북한 산줄기를 추출·구축하기 위해 기존 문헌자료(지도)를 이용하여 북한 지역의 공간정보 자료(DEM)로부터 참조자료를 추출하고, 평면상의 자료를 공간상의 자료로 변환하는 GIS 작업을 통해 북한 산줄기 공간정보 자료를 추출함. 본 작업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로 QGIS 및 Arcmap의 Arcpython을 사용함
ㅇ 최종 결과로 대간 1, 정맥 6, 기맥 6 이외에 크고 작은 모든 지맥 도형을 추출함

o 북한 하천 중권역도 분석 및 구축
ㅇ 북한지역 하천 중권역도 분석 및 구축은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와 NIMA(National Imagery and Mapping Agency)에서 촬영한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기반으로 수행함
ㅇ 북한 하천 중권역도 분석 결과 총 279개의 유역으로 분할되었고, 유역면적은 최소 3.02km2, 최대 1903.69km2, 평균 428.91km2로 분석됨

o 북한 생물서식지 적합성 분석
ㅇ InVEST 모델 중 Habitat Quality 모델을 사용하여 북한의 생물서식지 적합성 분석을 수행함
ㅇ 분석한 결과는 시군별 및 단위면적별로 구축하고 시각화하여, 향후 지역 단위 환경평가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