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사업보고서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남북협력(I)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기대 효과

제2장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취약성 동향
1. 국내외 기후변화 동향
2. 기후변화 취약성과 리스크
3. 기후변화 취약성평가 사례와 절차

제3장 북한지역 기후변화 취약성 검토의 기초자료 구축과 시범적용
1. 기후변화 취약성 검토를 위한 기초 현황 조사 및 자료 수집
2. 북한지역 기후변화 취약성 시범 검토

제4장 1차연도 결론

참고문헌

부 록
Ⅰ.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세부 입력자료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o 연구의 배경
ㅇ 북한의 기후변화는 전 세계 평균보다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관련한 영향과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기후변화 대응이 시급
ㅇ 기후변화에 대응한 협력 추진을 위하여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이해하고 남북협력 의 기반 마련 필요

o 연구의 목적
ㅇ 향후 남북 간 및 국제사회와의 기후변화 대응 협력추진을 위해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검토하고 관련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함
- 기후변화 취약성 파악을 위한 평가틀을 구축하고 관련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시범적으로 적용

Ⅱ.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취약성 동향
1. 국내외 기후변화 동향
o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현상이 가속화
ㅇ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는 전례 없는 수준으로 높으며 지표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과 비교하여 약 0.8~1.2℃ 상승하였음
ㅇ 국제사회는 파리협정의 체결과 탄소중립 선언 등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이미 배출된 온실가스로 인해 기후변화는 계속 진행될 전망
o 한반도는 전 세계 평균보다도 빠르게 기후변화가 진행 중
ㅇ 기상청의 기후평년값 분석에 의하면 최근 남북한은 온난화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남
- 남한의 평균기온은 이전 30년(1981~2010년)의 평년값 12.5℃인 데 반해 최근 30년(1991~2020)의 평년값은 12.8℃로 0.3℃ 상승
- 북한의 평균기온은 이전 평년값 8.5℃인데 반해 최근 평년값은 8.9℃로 0.4℃ 상승
ㅇ 강수량의 경우 이전 기후 평년값(1981~2010)에 비해 신 기후 평년값(1991~2020)이 남한은 1.4mm, 북한은 7.7mm 감소하였음

2. 기후변화 취약성과 리스크 및 분석 틀
o 기후변화 취약성의 개념과 기후 리스크
ㅇ 기후변화 취약성은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특히 중요한 개념이자 필수 정보이며, 이를 바탕으로 적응 방안과 전략을 도출할 수 있어 취약성 평가는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핵심절차
- 기후변화 취약성은 한 사회나 개인이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대응하거나 적응할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경향을 의미함
ㅇ 기후변화 리스크는 취약성과 같은 평가과정을 거치기도 하며, 대상지역의 기후변화 영향과 피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후 리스크를 목록화하여 적응방안 도출에 활용하는 접근도 이루어지고 있음

o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틀
ㅇ 기후변화 취약성은 주로 기후변화에 대한 노출과 민감도, 그리고 적응역량의 함수로 평가되어 왔으나 최근 자연재해와 같은 기후 관련 위해(hazrd) 요소를 함께 고려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기후 리스크로 부르기도 함
ㅇ 본 연구는 기후변화 취약성을 기후 노출과 민감도, 그리고 (기후) 위해의 세 요소가 함께 잠재적인 기후변화 영향을 초래하며, 적응역량을 통해 기후 영향을 상쇄하고 최종적으로 잔류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취약성으로 부름
- 본 연구는 위해 요소가 포함된 기후변화 취약성·리스크 개념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분석틀로서 <그림 1>과 같이 제시함
※ 본 연구는 기후변화 취약성·리스크를 줄여 기후변화 취약성으로 부름

Ⅲ. 북한지역 기후변화 취약성 시범 검토과 1차 연도 결론
1. 기후변화 취약성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