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기본연구 환경 디지털 뉴딜 구현을 위한 AI 기반 환경 감시 체계 구축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범위
3. 연구 내용 및 방법론

제2장 선행연구
1. 서론
2. 합성곱 신경망(CNN)
3. 이미지 분석 방법론
4. XAI(eXplainable AI)
5. 환경 분야 적용 사례
6. 소결

제3장 AI 기반 산지 변화 탐지
1. AI 기반 산지 변화 탐지 연구의 개요
2. 국내 산림지도 현황
3. 국외 현황 및 시사점
4. AI 기반 산지변화 탐지 입력자료 구성
5. AI 모델 구성
6. AI 모델의 산지 변화 탐지 적용 및 검증
7. AI 모델의 산지 변화 탐지 테스트
8. 소결

제4장 AI 기반 기후변화·대기오염과 코로나19 상관관계 분석
1. AI 기반 기후변화·대기오염과 코로나19 상관관계 분석연구의 개요
2. 코로나19와 기후변화·대기오염 영향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3. 기후변화·대기오염과 코로나19 발생 이후 상관관계 관련 연구
4. 코로나19와 기후·대기오염 데이터 수집
5. 코로나19와 기후·대기오염 상관 분석
6. 소결

제5장 AI 기반 침수 흔적 탐지
1. 연구 내용 및 방법
2. AI 기반 침수 흔적 탐지를 위한 입력 데이터 구성
3. AI 모델 구성
4. 침수 흔적 AI 기법 적용 및 검증
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통한 침수 흔적 예측
6. 소결

제6장 AI 기반 미세먼지 발생패턴 분석: 고농도 사례를 중심으로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3. 연구내용
4. 소결

제7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 록
Ⅰ. 위성데이터 기반 재분석 데이터 현황
Ⅱ. 위성데이터 활용 주요 미세먼지 연구 현황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o 연구의 필요성
ㅇ 환경(정책)분야에서 AI 기술 활용은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 연결에 주체적인 가교역할을 할 수 있지만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
ㅇ 환경 분야의 데이터를 AI 기술을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구축이 필요한 상황임
ㅇ ‘AI 기반 환경 감시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환경변화탐지, 자연재해 분석, 매체별 오염 발생패턴 분석 등 사례구축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필요한 요소 도출 및 프로세스 설계가 필요함
o 연구의 목적
ㅇ AI 및 XAI 복합적 활용을 통한 AI 기반 환경 자동 모니터링 및 대응을 위한 주요 사례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AI 기반 환경 감시 체계’ 구축 전략을 제시함

Ⅱ. 선행연구
o 환경정책연구에서 AI 연구 활용 범위의 확대
ㅇ 기존 의사결정 방법론의 한계를 다수의 파라미터로 구성된 AI 모델로 개선 가능
ㅇ 환경연구에서도 AI 방법론의 활용이 확대 중임
- 수치,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변수로 활용 가능하며 예측, 분류, 검출, 변화탐지 및 영향력 분석 등이 가능함
- AI는 성능 측면에서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지만, 복잡한 모델 구성으로 인해 설명력이 낮은 문제가 존재함
o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의 등장으로 예측과 동시에 영향력이 큰 요인을 확인하여 의사결정을 위한 양적 자료로 활용 가능성 확대
ㅇ 블랙박스(Black-Box) 구조로 되어 있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투명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XAI 연구가 활발해지는 추세임
- 2017년 미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에서 발표한 설명 가능 인공지능 프로젝트인 XAI를 시작으로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의 기술 연구가 본격적으로 전개 중임
ㅇ XAI 분석 연구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등의 환경오염 문제뿐만 아니라 생태계 분야 등 다양한 환경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음
- XAI 중에서 LIME(Local Interpretable Model-agnostic Explanations),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 Grad-CAM(Gradient-Class Activation Map) 등의 모형이 주로 활용되고 있음
o IoT, 드론, 무인이동체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기기를 통해 데이터 수집이 가능해져 환경 빅데이터가 축적되고 있으며 AI 적용 연구가 확대되는 추세임
ㅇ 환경분야에서 생성되는 이미지 및 영상 데이터는 기후, 환경오염(대기, 수질, 토양, 소음 등) 등 다양한 분야에 관련되어 있음
- AI 기반 예측, 분류 및 결측 데이터 보간 연구 등이 활발히 수행 중임
- 예측연구뿐만 아니라, XAI 기반 예측에 영향력이 큰 요인들을 제시하여 의사결정을 위한 양적 자료로 활용 가능성 확대

Ⅲ. AI 기반 산지 변화 탐지
1. AI 기반 산지 변화 탐지 연구의 개요
o GIS와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한 산지 변화에 대한 실태 조사, 의심지 도출 및 후속 조치와 같은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산지 변화의 조기 탐지 수행을 통한 피해지역의 조기 대응과 피해 축소가 필요함
o 따라서 본 연구는 딥러닝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