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기본연구 시민 인식의 녹색 전환을 위한 환경 리터러시 진단 및 강화 방안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내용 및 수행 체계

제2장 성인 환경교육과 환경 리터러시
1. 성인교육
2. 환경 리터러시(environment literacy)

제3장 성인을 위한 환경 리터러시
1. 인식 조사
2. 성인을 위한 환경 리터러시 측정 도구 개발

제4장 환경 리터러시 진단 및 강화 방안
1. 조사 개요
2. 설문의 구성
3. 연구 결과
4. 군집별 환경 리터러시 강화 방안

제5장 결론 및 함의
1. 연구 결과의 종합
2. 연구의 의의
3.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부 록
Ⅰ. 환경교육 인식 조사 및 AHP 조사 설문
Ⅱ. 환경 리터러시 설문지
Ⅲ. 환경 리터러시 군집별 특성 통계표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o 환경 정책이 성공적으로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책 이해와 필요성에 대한 범국민적 공감대가 필수
o 한국환경연구원에서 발간한 ‘2020 국민환경의식조사’에 따르면, 환경문제가 중요하기는 하지만 자신이 직접적 피해를 받는 주체라고 체감하지 못함
ㅇ 주로 실천하는 친환경 행동 중 자발적인 실천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ㅇ 친환경 행동 실천을 위해서는 환경에 대한 고려가 내재화되고 습관화되어야 함
o 사람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은 교육
ㅇ 우리나라 환경교육은 환경교육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구성됨
ㅇ 지금 당장 환경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실질적으로 환경적 실천을 해야 하는 성인의 대다수는 성인이 된 이후에 충분한 교육 기회를 접하지 못한 환경교육의 소외계층
o 환경교육 목표로서의 환경 리터러시
ㅇ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교육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지표가 부재함
ㅇ 환경교육의 목표를 환경 리터러시의 증대로 설정하고 이를 측정할 지표 개발이 필요

2. 연구의 범위
o 환경 리터러시 개념 정리 및 성인 대상의 측정 도구 개발
o 일반 시민의 환경 리터러시 수준 측정
o 환경 리터러시의 예측 요인과 결과 요인 확인
o 군집 분석을 통한 시민 유형 파악

Ⅱ. 성인 환경교육과 환경 리터러시
1. 성인교육
o OECD 2005년 프로젝트 보고서인 ‘The Role of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s in Promoting Lifelong Learning’에서는 교육 형식을 형식(formal), 비형식(non-formal), 무형식(informal) 교육으로 구분
ㅇ 형식 교육은 교육기관이나 훈련기관, 직장 내의 교육 등으로 학위나 자격증 등의 형태로 사회적인 인증을 받을 수 있는 학습
ㅇ 비형식 교육은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이지만 공식적 평가나 인증이 없는 학습으로 주로 평생교육원이나 사설 교육기관, 문화센터 등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ㅇ 무형식 교육은 가사활동, 여가활동, 직업활동 등 일상적인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습
o 2020년 기준 국내에서는 42.1%에 달하는 성인 평생학습 참여율 중 비형식 교육에 참여한 경우가 41.3%로, 전체 교육 참여의 약 98%가 비형식 교육으로 이루어짐

2. 환경 리터러시
o 북미환경교육협회(NAAEE)는 환경 소양을 설명하고 측정하기 위한 틀(framework for assessing environmental literacy)을 제안
ㅇ 환경 쟁점에 대한 개념적 이해, 문제 해결과 비판적 사고 기능, 환경과 자연에 대한 견해, 개인적/사회적 영역에서 친환경 행동으로 구성
ㅇ 핵심은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이며, 역량과 영향을 주고받는 요소로 지식과 태도가 연결됨
o 김찬국 외(2019)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중요한 목적이 환경 소양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라고 전제하고, 환경 소양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고자 시도함
ㅇ NAAEE의 틀을 재구성하여, 크게 환경 지식, 환경 정서, 환경 실천으로 요소들을 범주화하고, 각 영역을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나누어 강조

Ⅲ. 성인을 위한 환경 리터러시
1. 인식 조사
o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