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기본연구 재생에너지 주민수용성 제고를 위한 갈등지도 활용방안 : 계획입지제도를 중심으로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론
4. 연구의 흐름

제2장 선행연구 분석
1. 갈등지도
가. 갈등지도의 개념
나. 갈등지도의 유형
다. 갈등지도를 통한 재생에너지 입지관리 가능성
2. 계획입지제도
가. 계획입지제도의 개념
나. 재생에너지 발전·생산을 위한 계획입지제도 국외 사례
다. 계획입지제도를 통한 재생에너지 관리 방안

제3장 재생에너지 갈등 관련 주요 쟁점 및 관리현황 파악
1. 재생에너지 주요 갈등 쟁점
2. 재생에너지 갈등관리 현황
가. 기술환경적 방안
나. 시민참여적 방안
다. 이익공유적 방안
라. 세 가지 방안의 관계

제4장 재생에너지 주민수용성 제고를 위한 갈등지도 작성
1. 연구 설계
가. 연구대상지 선정
나. 사전 인터뷰
다. 지역이슈 및 갈등공간 선정
라. 이해당사자 선정
마. Q sorting
바. Q 요인분석
2. 분석 결과
가. 이해당사자 집단별 해석
나. 장소별 이슈 파악
다. 지역 현장 적용
3. 검증

제5장 계획입지제도의 재생에너지 갈등지도 활용방안
1. 결론
가. 이해당사자 간 의사소통 강화
나. 갈등 초기 공간기반 합의형성 대안 마련
다. 갈등관리의 절차적 합리성 제고
2. 시사점
가. [수상태양광] 개념 확대 및 수상변전실 설치
나. [집적화단지] 입지 스크리닝 및 민관협의회 운영
다. [환경영향평가] 공청회 보완
라. [도시기본계획] 환경갈등 관리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가. 연구의 한계
나.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부 록
Ⅰ. 갈등지도 작성 및 활용 가이드라인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ㅇ 그린뉴딜 정책기조에 따라 재생에너지 확산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지역사회에서는 재생에너지 시설의 입지와 관련한 갈등이 다수 발생하고 있어 환경성과 주민수용성 확보 방안이 필요한 상황
ㅇ 이에 본 연구는 미시적 환경자원에 대한 모니터링과 주민들의 참여를 높이는 계획입지제도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하여 Q 방법론을 기반으로 새만금 지역을 대상으로 참여지도 형태인 ‘갈등지도’를 시범으로 작성하고, 지역 이해당사자와 과학자 간의 인식차이를 줄이는 환경정책 및 공간계획 수립방향을 제안
ㅇ 본 연구의 핵심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첫째, [질문 1] 재생에너지 주민수용성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하는 계획입지제도를 안착하기 위한 방안은? ▶ 기존 공간에 대한 서로 다른 의견을 정리하지 못함에 따라 계속되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공간에 대한 이해당사자의 선호를 지도화하고 인식차이에 기반한 협력적 공간계획을 수립하여 국내 사정에 맞는 계획입지제도를 지원하는 연구를 수행
- 둘째, [질문 2] 갈등지도를 활용한 재생에너지 주민 수용성 제고를 위해 어떠한 정책과제와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가? ▶ 갈등지도를 활용하여 체계적인 주민수용성 관련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계획입지제도에 갈등지도 관련 제도를 접목한 발전 방안 수립을 제안

Ⅱ. 선행연구 분석
1. 갈등지도
ㅇ 계획입지제도는 지방정부가 주도적으로 재생에너지 입지를 선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의 미시적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계획을 세울 수 있는 기회
- 계획입지제도 운영 시 주민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수행해야 하며, 환경변화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이해관계 반영이 필요
- 재생에너지 계획입지제도는 지역사회의 미시적 환경변화에 따른 주민들의 이해관계를 반영해야 하나,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은 미흡한 상황
ㅇ 본 연구는 공간에 대한 인식차이를 지도화하여 보여주는 공간 Q 방법론을 통해 ‘갈등지도’를 작성하여, 그동안 난개발이라는 비판을 받아온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설치공간 문제를 공론화(표 1 참조)
- 지역 이해당사자가 알고 있는 미시적 환경정보와 행동패턴에 기반한 공간선호를 표현하는 ‘갈등지도’를 작성함으로써, 주체 간 인식차이가 큰 지점을 발견하여 과학자들에게 정밀한 조사를 의뢰
- 모든 주체들이 인식을 같이하는 지점을 기반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부지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갈등을 줄이고 지역별 특색에 맞는 재생에너지 보급 공간계획을 수립

2. 계획입지제도
ㅇ 영국, 네덜란드, 덴마크 등 해상풍력 발전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국가에서는 국가 또는 국가가 지정한 전담기관에서 해상풍력 개발예정지구를 지정하고, 공모 등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하여 해상풍력 발전을 진행(표 2 참조)
-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해상풍력에 대해 국가 주도의 계획입지제도를 통해 난개발을 방지하고 개발사업자가 안정적으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
- 대체로 정부기관의 자원 조사 및 환경영향평가를 바탕으로 한 입지선정과 경쟁입찰을 통한 발전사업자 선정 및 운영의 형태로 이루어짐
ㅇ 재생에너지 계획입지제도를 본격 시행하기에 앞서 2020년에 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제도를 우선 도입(그림 1 참조)
- 2020년 7월, 정부는 40MW 규모 이상의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