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본연구
사업보고서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지속가능성 평가(Ⅶ)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제2장 2018년 기준 지속가능성 평가결과 요약
1. 지속가능성 평가 체계
2. 지속가능성 평가결과 요약

제3장 물환경 서비스 국민인식 조사
1. 설문조사 개요
2. 설문조사 결과

제4장 특·광역시 물환경 서비스 지속가능성 분석
1. 하수도 서비스 수준 분석 개요
2. 분석대상 지자체 개요
3. 지자체 비교를 통한 함의점 도출

제5장 지속가능성 도모를 위한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 록
Ⅰ. 하수도 서비스 수준 분석 설문조사 질문지
Ⅱ. 하수도 서비스 중요도 및 시급성 통계분석 결과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o 물 인프라 시설의 노후화로 인한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음
ㅇ 1970년대 구축된 물 인프라 시설들의 노후화로 인해 하수관로 파열, 싱크홀 발생, 붉은 수돗물, 유충 사태 등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 증가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임
o 인프라 노후화에 대한 선제적 유지·관리가 필요하지만, 시설물의 노후화 수준 및 안전상태 등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조차 어려운 실정임
ㅇ 노후화된 인프라의 재구축을 위한 투자 계획과 재원 마련방안이 부재함
ㅇ 인프라의 선제적 유지·관리를 위해 먼저 시설물에 대한 실태 파악이 필요하며, 관리 주체가 되는 지자체가 보유한 자산 및 해당 자산의 상태, 사용자를 고려한 서비스 수준 등에 대한 파악을 기반으로 자산관리의 제도화 및 실질적인 적용이 시급함
2. 연구의 목적
o 지자체별 경제, 사회, 환경 측면에서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여 정책의 효율성, 효과성, 형평성을 향상하기 위한 정보 제공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ㅇ 이전 연차별 연구결과
- 1~3차 연도 연구(이병국 외, 2014; 강형식 외, 2015; 강형식 외, 2016)
o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 지속가능성 평가’ 기반 구축
- 4~6차 연도 연구(류재나 외, 2017, 2018, 2019)
o 전국 지자체 대상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 지속가능성 평가결과 보고서 발간
ㅇ 금년도 연구목적
- ’18년 기준으로 전국 지자체별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 지속가능성 평가
- 일반 국민 대상으로 물환경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의식 측정, 서비스 수준, 중요도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자산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현황 파악
- ‘물환경 서비스 지속가능성 정보시스템’ 고도화
- KEI Water Symposium 개최: 통합물관리 과제와 방향 모색

Ⅱ. ’18년 기준 지속가능성 평가결과 요약
1. 부문별 평가결과
o 경제부문
ㅇ 전반적으로 지자체 단위 규모가 클수록 경제부문의 지속가능성이 우수하게 나타남
ㅇ 특·광역시 단위 지자체의 경우 상하수도 부채비율, 하수도 평균단가, 하수도 유지관리비 투자비율, 하수도 개보수비 투자비율이 취약한 상태로 나타남
ㅇ 시 단위 지자체의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상하수도 부채비율, 하수도 평균단가가 취약한 상태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항목이 보통 수준으로 평가되어 향후 경제부문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주의가 필요함
ㅇ 군 단위 지자체에서는 상하수도 총괄단위원가, 상수도 중앙정부 지원액 비율, 하수도 개보수사업 투자비율 등이 취약한 상태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작년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함
o 사회부문
ㅇ 지자체의 규모가 클수록 서비스 보급의 사회적 공평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품질의 지역 간 형평성은 특·광역시 단위 지자체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ㅇ 특히, 상하수도 민원 발생빈도가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최근 몇 년간 발생한 붉은 수돗물, 유충 사태 등의 수질 문제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노후화된 인프라 정비가 시급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ㅇ 군 단위 지자체의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