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
사업보고서 2023 국민환경의식조사

제1장 2023 국민환경의식조사 개요

제2장 2023 국민환경의식조사 주요 결과
1. 환경인식
2. 환경태도/실천
3. 환경정보 이용
4. 환경수요/정책
5. 환경교육
6. 결론

제3장 2023 국민환경의식조사 설문지와 통계표
1. 국민환경의식조사 설문지
2. 통계표

참고문헌
한국환경연구원(KEI)은 환경 전반에 대한 국민의 의식 및 인식, 부문별 환경에 대한 만족도 및 환경정책 수요를 조사하기 위해 2012년부터 매년 국민환경의식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주요 조사 부문은 환경인식, 환경 실천 및 태도, 환경 수요 및 정책 등이다. 주요 문항에 대해 국민의 시기별 응답 변화를 살펴보고, 해외 유사 설문조사와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12년 유사한 목적을 위해 국내외 유사 설문을 검토하여 조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2013년에는 세부 문항의 조정이 이뤄졌으나 기존 데이터와 향후 축적되는 종단 자료와의 연계비교를 위해 설문 문항의 기본 틀을 유지하였다. 다만 당해 연도의 사회적 관심이나 환경 이슈를 고려하여 관련 주제에 대한 특별 부문을 추가하여 시의성을 확보하고 있다. 특별 부문은 2012년에는 녹색성장정책, 원자력, 2013년에는 기후변화 및 화학물질, 2014년에는 기후변화, 2015년에는 기후변화와 생태계서비스, 2016년에는 기후변화와 미세먼지, 2017년에는 기후변화와 에너지(원자력), 2018년에는 미세먼지, 2019년에는 물 환경과 생태계서비스, 2020년에는 코로나19, 2023년에는 환경교육으로 구성하였다.
국민환경의식조사는 2018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조사 문항 및 방법을 일부 변경하였다. 조사항목 측면에서는 2012년부터 유지되어 온 문항의 연속성은 유지하되 중복되는 질문 및 현실과 맞지 않는 항목은 제외하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필요한 항목을 추가하였다. 또한 주요 부문도 기존의 다섯 개 부문에서 환경인식, 환경 태도/실천, 환경 수요/정책의 세 부문으로 통합하였고, 2021년부터는 환경정보 이용 부문을 추가하여 총 네 부문을 운영 중이다. 설문조사 방법의 경우 2017년까지는 방문면접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나, 2018년 조사부터는 온라인 패널을 대상으로 웹조사를 이용하였다. 방문면접조사의 장점은 조사자가 면접조사에 대한 교육이 잘 된 상태라면 설문 응답자의 설문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설문 환경에 대한 통제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응답률이 높아 표본 편향(sampling bias)을 줄일 수 있다. 반면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아 응답자의 답변에 편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면접자의 훈련상태에 따라서 설문조사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웹조사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신속한 조사가 가능하며, 조사의 설계에 따라 균등한 수준의 조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해외에서 실시된 연구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활용 폭이 넓어지고 있다. 또한 온라인 패널을 이용하면 추적조사를 통한 패널 데이터 구축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다만 설문조사 업체에서 구축한 온라인 패널의 대표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온라인 패널에는 근본적으로 이메일,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자만 포함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령층이나 저학력 계층의 표본이 과소하게 포함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조사자가 직접 설명하는 방식이 아닌 응답자가 웹 화면을 보고 설문을 이해해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조사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만 최근 두 가지 방식에 대한 차이를 연구한 결과를 살펴보면 조사방식의 차이가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