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보고서
조선시대 문헌 분석을 통한 포유동물 분포 복원과 남북한 협력 방향
- 저자 구경아
- 연구진 김다빈
-
발간일
2023-12-31
요 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수행 체계
제2장 조선시대 포유동물 공물 및 DB 구축
1. 조선시대 포유동물 관련 지역별 기록자료 수집
2. 조선시대 포유동물 종류 DB 구축
3. 조선시대 포유동물 공물 기록 기반 분포 복원
제3장 조선시대 시대별 포유동물 분포 분석
1. 조선시대 도·군·현 단위 시대별 포유동물 분포 분석
2. 조선시대 한반도 포유동물 분포의 시대별 변화
3. 조선시대 시대에 따른 포유동물 종류의 지역별 다양도
4. 조선시대 고문헌 기반 포유동물 분포 복원의 의의 및 활용방안
제4장 조선시대 멸종위기 포유동물 분포 특성·변화 분석 및 보전을 위한 남북한 협력
1. 멸종위기 포유동물 조선시대 분포 복원 및 특성
2. 멸종위기 포유동물 보전을 위한 남북한 협력 방향 모색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수행 체계
제2장 조선시대 포유동물 공물 및 DB 구축
1. 조선시대 포유동물 관련 지역별 기록자료 수집
2. 조선시대 포유동물 종류 DB 구축
3. 조선시대 포유동물 공물 기록 기반 분포 복원
제3장 조선시대 시대별 포유동물 분포 분석
1. 조선시대 도·군·현 단위 시대별 포유동물 분포 분석
2. 조선시대 한반도 포유동물 분포의 시대별 변화
3. 조선시대 시대에 따른 포유동물 종류의 지역별 다양도
4. 조선시대 고문헌 기반 포유동물 분포 복원의 의의 및 활용방안
제4장 조선시대 멸종위기 포유동물 분포 특성·변화 분석 및 보전을 위한 남북한 협력
1. 멸종위기 포유동물 조선시대 분포 복원 및 특성
2. 멸종위기 포유동물 보전을 위한 남북한 협력 방향 모색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o 한반도의 수리적·지리적 특성은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기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
ㅇ북반구 중위도 유라시아 대륙 동안에 위치해 있을 뿐만 아니라 남북으로 길게 뻗은 반도의 모양으로 다양한 기후적 환경이 나타나 생태적 점이지대의 역할
ㅇ한반도 전체 면적의 약 70%가 산지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북동부의 백두산부터 남부의 지리산까지 높은 산줄기로 이어진 백두대간은 여러 포유동물이 서식하기에 적합
o 한반도의 역사적·사회적 분단 상황으로 생태학적 연구의 한계 발생
ㅇ분단으로 인한 생물의 이동 및 분포 단절이 발생하여 한반도 규모의 종합적인 생태학적·생물학적 연구에 어려움
ㅇ남북 간 직접 방문을 통한 현지조사에 한계가 있어 북한의 자연 및 생태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현황 분석 불가
o 생물다양성 증진에 대한 국제적·국내적 요구 확대
ㅇ‘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및 나고야 의정서 등 생물의 지속성과 현황 등에 대한 구체적 조사 필요
ㅇ 한반도 내 약 10만 종의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개발, 도시화 및 산업화, 서식지 파괴, 과도한 밀렵, 기후변화 등으로 많은 동·식물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어 이에 대한 복원 및 복원에 대한 요구가 증대
o 고문헌을 통한 다양한 생물의 분포 복원 연구 수행
ㅇ조선시대 작성된 고문헌을 활용한 식물, 대형 식육동물, 멸종위기종 등의 분포 복원 및 고고학적 자료와 기록을 분석하여 여러 동물의 분포 복원, 서식 범위 및 상대적 풍부도 등을 분석한 연구 수행
ㅇ하지만 여러 포유동물에 대하여 분포를 종합적으로 복원해 현재 분포 특성과 비교한 연구 등은 미흡하여, 다양한 포유동물을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연구 수행을 통해 멸종위기 동물의 복원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이 요구됨
o 향후 남북 멸종위기 야생동물 복원 효과 증진을 위한 교류 협력방안 등을 모색
ㅇ조선시대 작성된 고문헌 기반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조선 전기, 중기, 후기 포유동물의 분포를 간접적으로 복원
ㅇ한반도 생물종에 대한 기초적·역사적 자료 구축 및 조선시대 멸종위기 야생동물 분포지 기반 멸종위기 야생동물 복원 효과 증진을 위한 남북 간 교류협력 활용방안 모색
2. 연구의 수행체계 및 내용
o 조선시대 고문헌 포유동물 관련 공물 기록 기반 분포 DB 구축 및 복원
ㅇ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1454),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 대동지지(大東地志)(1861~1866)에서 확인되는 포유동물 관련 공물 DB 구축
ㅇ각 도(道)의 부(府)·목(牧)·군(郡)·현(縣) 단위 분포지도 작성 및 현재 분포와 비교 분석
o 조선시대 고문헌 기반 포유동물 분포 특성과 변화 분석 및 남북협력 방안 도출
ㅇ고문헌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6종류의 포유동물에 대한 조선시대의 시대별 도(道)·부(府)·목(牧)·군(郡)·현(縣) 단위의 포유동물 분포 특성 및 변화 분석
ㅇ멸종위기 야생동물 Ⅰ급으로 지정된 동물들의 분포 패턴, 변화 분석 및 북한지역에 대한 과거 분포를 기반으로 향후 해당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보전을 위한 남북협력 방향 모색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o 한반도의 수리적·지리적 특성은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기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
ㅇ북반구 중위도 유라시아 대륙 동안에 위치해 있을 뿐만 아니라 남북으로 길게 뻗은 반도의 모양으로 다양한 기후적 환경이 나타나 생태적 점이지대의 역할
ㅇ한반도 전체 면적의 약 70%가 산지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북동부의 백두산부터 남부의 지리산까지 높은 산줄기로 이어진 백두대간은 여러 포유동물이 서식하기에 적합
o 한반도의 역사적·사회적 분단 상황으로 생태학적 연구의 한계 발생
ㅇ분단으로 인한 생물의 이동 및 분포 단절이 발생하여 한반도 규모의 종합적인 생태학적·생물학적 연구에 어려움
ㅇ남북 간 직접 방문을 통한 현지조사에 한계가 있어 북한의 자연 및 생태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현황 분석 불가
o 생물다양성 증진에 대한 국제적·국내적 요구 확대
ㅇ‘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및 나고야 의정서 등 생물의 지속성과 현황 등에 대한 구체적 조사 필요
ㅇ 한반도 내 약 10만 종의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개발, 도시화 및 산업화, 서식지 파괴, 과도한 밀렵, 기후변화 등으로 많은 동·식물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어 이에 대한 복원 및 복원에 대한 요구가 증대
o 고문헌을 통한 다양한 생물의 분포 복원 연구 수행
ㅇ조선시대 작성된 고문헌을 활용한 식물, 대형 식육동물, 멸종위기종 등의 분포 복원 및 고고학적 자료와 기록을 분석하여 여러 동물의 분포 복원, 서식 범위 및 상대적 풍부도 등을 분석한 연구 수행
ㅇ하지만 여러 포유동물에 대하여 분포를 종합적으로 복원해 현재 분포 특성과 비교한 연구 등은 미흡하여, 다양한 포유동물을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연구 수행을 통해 멸종위기 동물의 복원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이 요구됨
o 향후 남북 멸종위기 야생동물 복원 효과 증진을 위한 교류 협력방안 등을 모색
ㅇ조선시대 작성된 고문헌 기반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조선 전기, 중기, 후기 포유동물의 분포를 간접적으로 복원
ㅇ한반도 생물종에 대한 기초적·역사적 자료 구축 및 조선시대 멸종위기 야생동물 분포지 기반 멸종위기 야생동물 복원 효과 증진을 위한 남북 간 교류협력 활용방안 모색
2. 연구의 수행체계 및 내용
o 조선시대 고문헌 포유동물 관련 공물 기록 기반 분포 DB 구축 및 복원
ㅇ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1454),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 대동지지(大東地志)(1861~1866)에서 확인되는 포유동물 관련 공물 DB 구축
ㅇ각 도(道)의 부(府)·목(牧)·군(郡)·현(縣) 단위 분포지도 작성 및 현재 분포와 비교 분석
o 조선시대 고문헌 기반 포유동물 분포 특성과 변화 분석 및 남북협력 방안 도출
ㅇ고문헌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6종류의 포유동물에 대한 조선시대의 시대별 도(道)·부(府)·목(牧)·군(郡)·현(縣) 단위의 포유동물 분포 특성 및 변화 분석
ㅇ멸종위기 야생동물 Ⅰ급으로 지정된 동물들의 분포 패턴, 변화 분석 및 북한지역에 대한 과거 분포를 기반으로 향후 해당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보전을 위한 남북협력 방향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