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사업보고서 팬데믹 관련 환경인자 및 현황 분석 기반 환경 정책방향 연구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수행 체계
3. 연구 내용 및 추진 방법

제2장 팬데믹 발생 및 확산의 환경요인 분석
1. 팬데믹 발생·확산의 환경요인 현황 분석
2. 팬데믹 발생·확산의 환경요인 관련 시사점

제3장 팬데믹 발생으로 인한 환경 분야별 동향, 영향 분석 및 전망
1. 에너지 수요 변화와 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분석 및 전망
2. 의료 및 포장재 폐기물 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전망
3. 환경보건 분야 현황 분석 및 전망
4. 취약성 관련 현황 분석 및 전망

제4장 팬데믹 관련 환경 분야 인식 변화 및 실태 조사
1. 팬데믹 관련 환경 분야 인식 변화 및 실태 분석
2. 시사점

제5장 결론 및 향후 추진사항
1. 연구 요약 및 시사점
2. 향후 연구 추진방향

참고문헌

부 록
Ⅰ.팬데믹 관련 환경 분야 문제점 파악 및 정책 수요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 o 일반 국민 대상 질문지
Ⅱ.팬데믹 관련 환경 분야 문제점 파악 및 정책 수요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 o 전문가 대상 질문지
Ⅲ.자원순환 정책의 팬데믹 영향도 및 효과성 분석 o 전문가 대상 질문지

Executive Summary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o 연구 배경 및 필요성
ㅇ 코로나19 팬데믹은 글로벌 경제적 위기와 함께 건강, 에너지, 폐기물 등 광범위한 사회·환경적 영향이 초래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와 같은 패러다임 전환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의 마련이 요구됨
ㅇ 이를 위해서는 기후변화 등 환경인자 및 사회·경제적 요인과 감염병 팬데믹 간의 상호 연관성 및 관련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음

o 연구 목적
ㅇ 본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발생·확산의 요인이 되는 환경인자를 도출함과 동시에 환경 분야별 영향을 분석하고, 궁극적으로는 환경 분야의 팬데믹 대응체계 및 정책기반 구축방안을 제시하는 것임
- 본 연구는 총 3차 연도로 추진되며, 2021년 수행한 1차 연도 연구는 팬데믹 발생·확산의 요인이 되는 환경인자 및 팬데믹의 영향을 받는 환경 분야에 대한 진단·분석에 중점을 둠
- 2차 및 3차 연도 연구에서는 팬데믹 발생-대유행-위드 코로나 등 전 과정에 대해 진행시기별 환경요인 및 영향을 확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팬데믹 발생 시 환경 분야 대응체계와 정책방안 마련을 위한 기반을 구축할 예정임

Ⅱ. 팬데믹 발생 및 확산의 환경요인 분석
o 팬데믹 발생·확산의 환경요인 현황 분석
ㅇ 코로나19의 발생 및 확산과 환경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활용가능한 국내 자료 존재 여부를 고려하여 팬데믹과 환경요인 간의 연관성을 살펴봄
ㅇ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추이를 분석한 결과 유행 단계별 증감이 나타났으며, 지역별로 유의한 군집 경향 및 상대위험비의 변화를 확인함
ㅇ 코로나19 팬데믹과 환경인자 간 시·군·구별로 공간적 분포 및 연관성을 초기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PM2.5, 화학물질 대기배출량, 의료폐기물 발생량 및 교통밀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산림비율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임

o 팬데믹 발생·확산의 환경요인 관련 시사점
ㅇ 현재로서는 백신 접종 등 방역 대책, 바이러스 돌연변이 발생 및 사회·경제적 인자 등 외생 변수로 인해 팬데믹과 환경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에 불확실성이 존재함
ㅇ 팬데믹과 환경요인, 위드 코로나 등 시기별 변화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추가분석이 요구됨

Ⅲ. 팬데믹 발생으로 인한 환경 분야별 동향, 영향 분석 및 전망
o 에너지 수요 변화와 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분석 및 전망
ㅇ 코로나19 진행상황 및 경기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나, 팬데믹은 국내외적으로 경제활동, 에너지 수요, 온실가스 배출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됨
ㅇ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발생으로 에너지 수요 및 온실가스 배출량이 뚜렷하게 변화하였고, 에너지원별·부문별로 변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추후 가구 에너지 수요 변화 등의 미시적인 연구 또한 필요함
ㅇ 재생에너지 산업의 경우 포스트 코로나 시기의 전망은 중단기적으로 불확실 요인이 공존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재생에너지의 안정적 확산이 에너지 시장의 불안정성을 해결하는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을 향한 파리협정 이행방안들이 구체화되면서 재생에너지 확대가 메가트랜드로 작용해 긍정적일 것으로 판단됨

o 의료 및 포장재 폐기물 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전망
ㅇ 팬데믹 발생으로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