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연구 환경갈등 관리를 위한 공론조사 개선에 관한 연구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구성

제2장 숙의민주주의 모델과 공론조사
1. 민주주의 모델로서의 숙의민주주의
가. 숙의민주주의의 정치사회적 의미
나. 숙의민주주의의 개념과 이론적 논의
2. 공론조사의 원리와 운영: 작은 공중을 활용한 숙의기법
3. 국내 주요 공론조사 현황과 특징

제3장 환경갈등 공론조사에 대한 경험적 분석
1. 언론보도 프레임 분석: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가. 연구방법 및 분석대상
나. 언론보도 분석 결과
다. 종합적 논의
2. 지역 공론조사 분석: 3개의 공론조사 비교
가. 연구방법과 비교 분석의 기준
나. 대전 월평공원 공론조사
다. 서산시 자원회수시설 공론조사
라. 경주 월성원전 맥스터(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 공론조사
마. 종합적 논의

제4장 결론: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
1. 정책적 시사점
가. 공론조사의 설계와 진행
나. 시민참여단(작은 공중)
다. 숙의의 질
라. 결과에 대한 수용성
마. 공론조사의 민주적 혁신을 위한 제언
2.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부 록
Ⅰ. 토픽모델링 결과 상세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ㅇ본 연구는 환경갈등 이슈로 진행된 국내 공론조사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해 환경갈등 예방 및 관리에 있어 공론조사가 갖는 의미와 한계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안함
ㅇ 세부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음
- 첫째, 민주주의 모델로서 숙의민주주의가 갖는 정치적 의미와 함께 공론조사의 원리와 성공조건 확인
- 둘째, 국내에서 진행된 환경갈등 공론조사 사례에 대한 경험적 연구 수행
o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던 신고리 5·6호기 공론조사 사례에 대한 언론보도 프레임 분석을 통해 공론조사를 둘러싼 담론지형을 확인
o 환경갈등 이슈로 진행된 3개의 공론조사 사례(대전 월평공원 공론조사, 서산 자원회수시설 공론조사, 경주 월성원전 맥스터 공론조사)를 분석
- 셋째, 앞의 연구 결과와 민주적 혁신의 맥락에서 환경갈등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공론조사 개선방안 제안

Ⅱ. 숙의민주주의 모델과 공론조사
ㅇ숙의민주주의는 대의민주주의의 민주주의 결핍 문제를 해결하거나 보완하는 정치사회적 실험으로 1990년대 이후 꾸준한 관심을 받음. 숙의민주주의에서 말하는 숙의는 ‘정치엘리트의 숙의’가 아니라 ‘인민에 의한 숙의’를 의미함
ㅇ대의민주주의가 선거제도를 통해 현실사회에서 실현되었듯이 숙의민주주의는 구조화된 다양한 숙의기법을 통해 구현됨. 숙의기법들은 일반적으로 작은 공중(mini-public)을 활용한 면대면 숙의 방식을 지향
ㅇ작은 공중은 일반 시민을 대표 혹은 포괄하는 일종의 소우주로 작은 공중을 활용한 숙의 모델로는 공론조사 이외에도 시민의회, 플래닝 셀, 합의회의, 시민배심원제 등이 있음
ㅇ공론조사는 1980년대 후반 미국의 정치학자인 피시킨(Fishkin)이 제안한 이후 글로벌하게 실행되고 있음. 피시킨은 대의민주주의에서 상호 반비례 관계인 ‘정치적 평등’과 ‘숙의’를 숙의민주적 방법인 공론조사를 통해 결합하고자 함

Ⅲ. 환경갈등 공론조사에 대한 경험적 분석
1. 언론보도 프레임 분석: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ㅇ탈원전 정책과 관련해서는 언론사 간 보도 프레임의 차이를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음. 보수언론은 탈원전 정책에 반대하며 신고리 5·6호기 공론화를 아마추어 정부에 의한 사회적 혼란으로 언급하는 보도 프레임을 구성했다면, 진보언론은 원전의 고비용·고위험을 강조하며 탈핵 보도 프레임을 구성함. 하지만 공론조사와 같은 숙의민주주의대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한 대립이 나타남
ㅇ진보언론은 신고리 5·6호기 공론화를 시민참여의 성공 사례로 언급하면서 숙의민주주의의 확대를 강조하는 보도 프레임을 구성함. 보수언론 또한 제한적이지만 공론화로 상징되는 숙의민주주의를 일정 부분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 즉 원전 정책과 관련해서는 친원전과 탈핵 프레임이 강하게 대립했다면, 숙의민주주의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완화된 프레임 대립을 보임

2. 지역 공론조사 분석: 3개의 공론조사 비교
ㅇ <표 1>은 3개 공론조사를 의제, 시민참여단, 최종결정을 기준으로 비교한 것임
ㅇ 공론조사의 설계와 진행과정의 공정성
- 대전 사례에서는 중립적인 전문가로 구성된 공론화위원회와 별도로 이해당사자 협의체와 전문가 검증단을 둠. 이 두 단위는 이해당사자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공론조사 과정에 개진하도록 해주는 것은 물론 상호균형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