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내용
3. 연구 방법
제2장 환경규제의 이론적 배경
1. 환경규제 이론 체계
2. 환경규제 수단: 종류, 특징, 장단점
3. 국내 환경규제 운용 현황
4. 환경규제의 이론적 이슈
제3장 환경규제 개편 논의
1. 국내 환경규제 도입 경과
2. 현 정부의 규제혁신 전략
3. 산업계 환경규제 개편 요구
제4장 환경규제 여건변화
1. 최적환경규제 관점에서 대략적 규제 여건
2. 미래 기술의 등장과 산업구조의 변화
3. 기업의 자발적 개선 노력 확대
4. 디지털경제 확산
5. 국제 환경정책
제5장 환경규제 관련 포럼
1. 포럼 논의 내용
2. 시사점
제6장 중장기 개편방안
1. 시장 기반적 정책수단 확대
2. 자발적 접근(VA) 활용 확대
3. 책임 디지털경제 강화
4. 국제 규제협력에 적극 대응·참여
5. 규제기관 거버넌스 개선
6. 규제 사후영향평가제도 도입
제7장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 록
Ⅰ. 전문가 포럼 토론문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범위 및 내용
3. 연구 방법
제2장 환경규제의 이론적 배경
1. 환경규제 이론 체계
2. 환경규제 수단: 종류, 특징, 장단점
3. 국내 환경규제 운용 현황
4. 환경규제의 이론적 이슈
제3장 환경규제 개편 논의
1. 국내 환경규제 도입 경과
2. 현 정부의 규제혁신 전략
3. 산업계 환경규제 개편 요구
제4장 환경규제 여건변화
1. 최적환경규제 관점에서 대략적 규제 여건
2. 미래 기술의 등장과 산업구조의 변화
3. 기업의 자발적 개선 노력 확대
4. 디지털경제 확산
5. 국제 환경정책
제5장 환경규제 관련 포럼
1. 포럼 논의 내용
2. 시사점
제6장 중장기 개편방안
1. 시장 기반적 정책수단 확대
2. 자발적 접근(VA) 활용 확대
3. 책임 디지털경제 강화
4. 국제 규제협력에 적극 대응·참여
5. 규제기관 거버넌스 개선
6. 규제 사후영향평가제도 도입
제7장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 록
Ⅰ. 전문가 포럼 토론문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q 정부의 규제혁신 추진에 발맞추어 환경 분야 현안 분석, 관련 규제 개선 방안 마련 및 향후 연구 과제 제안 등 신속한 대응이 필요
ㅇ 본 연구의 목적은 새 정부의 규제혁신 추진 시스템을 위해 이에 따른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영향을 점검하고 향후 환경규제 개선 방안을 제언하기 위함임
ㅇ 본 연구에서 살펴볼 연구 내용은 크게 5분야로 구분되며 각 분야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기존 환경규제 개편 논의
- 환경규제에 대한 산업계의 요구 및 정부의 대응
- 국외 사례 및 국제적 권고
- 전문가 포럼을 통한 국내 이해당사자 의견 수렴
- 국내 환경규제 개편방안 도출
Ⅱ. 환경규제의 이론적 배경
q 환경규제 이론 체계
ㅇ 환경오염으로 인한 부정적 외부효과를 바로잡기 위해 정부가 개입하여 오염을 유발
하는 개인이나 기업을 제재하는 것이 환경규제라고 할 수 있음
- OECD(2008)는 복잡하고 상충되는 환경-경제-사회 목표 사이에서 올바른 균형을 찾기 위해 통합적 관점(integrated perspective)을 제시하고 있음
q 환경규제 수단
ㅇ 환경규제 수단은 크게 명령 지시 중심의 직접 규제, 시장 기반의 경제적 유인 제도, 자율적 규제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 직접 규제가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환경규제 수단이나 경제적 효율성 측면에서는 시장 기반의 경제적 유인제도가 훨씬 효율적이며, 피규제자의 자발적인 환경 개선 노력을 유도하는 측면에서는 자율적인 환경규제가 가장 이상적임
q 국내 환경규제 운용 현황
ㅇ 우리나라 환경규제의 70% 이상은 직접 규제로 이루어져 있음
- 1990년대 이후 시장 기반의 경제적 유인 제도도 많이 도입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쓰레기종량제, 각종 부과금 제도, 배출권거래제 등이 있음
- 최근 국내외적으로 ESG 정보 공개 활성화와 기업의 ‘RE100’ 참여 등 자율적인 환경규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Ⅲ. 환경규제 개편 논의
1. 국내 환경규제 도입 경과
o 시기별 주요 환경규제 도입 경과
ㅇ 1970~1980년대: 환경규제 체계 구축, o환경보전법o 제정, 환경청 발족
ㅇ 1990~2000년대: 환경규제 체계가 고도화, 환경 6법 제정, 환경처가 환경부로 승격
ㅇ 2010년대: 환경규제 체제가 더욱 효율화됨, 미세먼지 관리,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제도 정비, 화평법·화관법 시행, 통합환경관리제도 및 물관리 일원화 시행
ㅇ 2020년대: o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법o 제정, o미세먼지법o 시행, o통합물관리법o 제정
o 연도별 주요 환경규제 개편 방향
ㅇ 2014년 이후 환경부 연도별 규제혁신 기본 방향의 주요 내용에서 동일하게 제시되는 항목들을 도출함
포괄적 네거티브(원칙적 금지에서 원칙적 허용)로의 전환
현장 중심의 맞춤형 규제 개선
기업의 형편 및 실정에 맞게 추진하는 화학물질 규제 합리화
국민·민생을 불편하게 하는 규제 개선
2. 현 정부의 규제혁신 전략
o 그간 정부는 규제개혁위원회와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신설·강화 규제 심사, 신산업 규제혁신 플랫폼 구축, 현장 규제 애로 해소 등을 통해 규제개혁 추진
ㅇ 기업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덩어리 규제는 피규제자 입장에서의 적극적인 규제 개선 노력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q 정부의 규제혁신 추진에 발맞추어 환경 분야 현안 분석, 관련 규제 개선 방안 마련 및 향후 연구 과제 제안 등 신속한 대응이 필요
ㅇ 본 연구의 목적은 새 정부의 규제혁신 추진 시스템을 위해 이에 따른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영향을 점검하고 향후 환경규제 개선 방안을 제언하기 위함임
ㅇ 본 연구에서 살펴볼 연구 내용은 크게 5분야로 구분되며 각 분야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기존 환경규제 개편 논의
- 환경규제에 대한 산업계의 요구 및 정부의 대응
- 국외 사례 및 국제적 권고
- 전문가 포럼을 통한 국내 이해당사자 의견 수렴
- 국내 환경규제 개편방안 도출
Ⅱ. 환경규제의 이론적 배경
q 환경규제 이론 체계
ㅇ 환경오염으로 인한 부정적 외부효과를 바로잡기 위해 정부가 개입하여 오염을 유발
하는 개인이나 기업을 제재하는 것이 환경규제라고 할 수 있음
- OECD(2008)는 복잡하고 상충되는 환경-경제-사회 목표 사이에서 올바른 균형을 찾기 위해 통합적 관점(integrated perspective)을 제시하고 있음
q 환경규제 수단
ㅇ 환경규제 수단은 크게 명령 지시 중심의 직접 규제, 시장 기반의 경제적 유인 제도, 자율적 규제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 직접 규제가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환경규제 수단이나 경제적 효율성 측면에서는 시장 기반의 경제적 유인제도가 훨씬 효율적이며, 피규제자의 자발적인 환경 개선 노력을 유도하는 측면에서는 자율적인 환경규제가 가장 이상적임
q 국내 환경규제 운용 현황
ㅇ 우리나라 환경규제의 70% 이상은 직접 규제로 이루어져 있음
- 1990년대 이후 시장 기반의 경제적 유인 제도도 많이 도입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쓰레기종량제, 각종 부과금 제도, 배출권거래제 등이 있음
- 최근 국내외적으로 ESG 정보 공개 활성화와 기업의 ‘RE100’ 참여 등 자율적인 환경규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Ⅲ. 환경규제 개편 논의
1. 국내 환경규제 도입 경과
o 시기별 주요 환경규제 도입 경과
ㅇ 1970~1980년대: 환경규제 체계 구축, o환경보전법o 제정, 환경청 발족
ㅇ 1990~2000년대: 환경규제 체계가 고도화, 환경 6법 제정, 환경처가 환경부로 승격
ㅇ 2010년대: 환경규제 체제가 더욱 효율화됨, 미세먼지 관리,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제도 정비, 화평법·화관법 시행, 통합환경관리제도 및 물관리 일원화 시행
ㅇ 2020년대: o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법o 제정, o미세먼지법o 시행, o통합물관리법o 제정
o 연도별 주요 환경규제 개편 방향
ㅇ 2014년 이후 환경부 연도별 규제혁신 기본 방향의 주요 내용에서 동일하게 제시되는 항목들을 도출함
포괄적 네거티브(원칙적 금지에서 원칙적 허용)로의 전환
현장 중심의 맞춤형 규제 개선
기업의 형편 및 실정에 맞게 추진하는 화학물질 규제 합리화
국민·민생을 불편하게 하는 규제 개선
2. 현 정부의 규제혁신 전략
o 그간 정부는 규제개혁위원회와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신설·강화 규제 심사, 신산업 규제혁신 플랫폼 구축, 현장 규제 애로 해소 등을 통해 규제개혁 추진
ㅇ 기업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덩어리 규제는 피규제자 입장에서의 적극적인 규제 개선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