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수시연구 그린뉴딜 촉진을 위한 자원순환부문 인센티브 체계 개선 연구

요 약

제1장 서 론

제2장 국내외 플라스틱 관련 제도
1. 한국의 플라스틱 폐기물 관련 주요 제도
2. 국외 플라스틱 폐기물 관련 주요 제도
3. 영국의 플라스틱 포장재 세금 제도
4. 영국의 EPR제도와 플라스틱 포장재 세금 제도 비교
5. 국내외 플라스틱 관련 제도 비교

제3장 플라스틱 포장재 그린화 촉진 정책의 경제 파급효과 분석
1. 개방형 비교정태 일반균형모형 구조
2. 생산과 소비 구조
3. 시간 부존(time endowment)
4. 대표적인 주체의 역할 및 소비 구조
5. 일반균형모형 분석에 적용된 데이터
6. 재생 플라스틱 원료 사용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에 따른 효과 분석

제4장 재활용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1. 설문조사 주요 항목 및 결과 분석
2. 영향요인 분석 결과

제5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요약]
ㅇ 우리 사회는 최근 그린뉴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이 연구에서는 생산자 및 소비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을 활용한 폐기물 재활용 부문에서의 그린(환경)·뉴딜(고용) 촉진 가능성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함
ㅇ 최근 영국에 도입 예정된 플라스틱 포장재 세금처럼 우리나라도 향후에는 제품 자체의 재활용·재생 원료의 ‘함유’ 여부에 따라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새로운 접근법의 적용에 대한 사회적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함
- 영국에서는 재생원료를 30% 미만으로 함유한 포장용플라스틱제품에 대하여 플라스틱 포장재 세금을 부과할 예정임

Ⅰ. 연구의 배경과 목적
o 기존 우리나라의 폐기물 재활용 관련 인센티브 제도는 재생원료 함유량 기준이 주요인이 아닌 것으로 여겨짐
ㅇ 기존 우리나라의 폐기물 재활용 관련 인센티브(비용 부과 혹은 혜택 부여) 정책은 회수목표 달성 여부(EPR제도 등), 유해성 여부(폐기물부담금제도 등) 혹은 생산자의 영세성 여부 등의 기준에 따라 비용을 부담시키거나 감면해 주고 있음
o 재생원료 함유 여부에 따른 영국의 플라스틱 포장재 세금 도입 움직임
ㅇ 최근 영국에 도입 예정된 플라스틱 포장재 세금(plastic packaging tax)처럼 우리나라도 향후에는 제품 자체의 재활용·재생 원료의 함유 여부에 따라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
o 재생원료 함유 여부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제도 도입의 사회적 타당성 검토 필요
ㅇ 재생원료의 함유 여부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새로운 접근법의 적용이 갖는 타당성 제시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제품 자체의 재활용·재생 원료의 함유 여부에 따라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함
- 생산 단계에서 재생원료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생산 단계 지원 측면
- 폐자원·재생원료를 사용한 재활용·업사이클 제품에 대한 소비 단계 지원 측면
ㅇ ⓐ 생산 단계에서 재생원료를 사용한 플라스틱 포장재에 대하여 생산자에게 양(+)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 그리고 ⓑ 소비 단계에서 업사이클·재활용 제품에 대한 소비자에의 가격지원정책의 필요성·타당성을 검토함

Ⅱ. 생산 단계에서 재생원료를 사용한 플라스틱 포장재에 대하여 생산자에게 양(+)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그린뉴딜 측면에서의 사회적 타당성 검토
o 재생원료 포함 플라스틱 포장재 지원정책은 사회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ㅇ 가상의 재활용원료 함유 플라스틱 포장재에 대하여 생산세 감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경우, 그린(환경개선)과 뉴딜(고용) 측면에서 양(+)의 효과가 발생함
o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한 재생원료 함유 플라스틱 포장재 지원정책의 효과 분석
ㅇ 포장용플라스틱제품 등의 생산 단계에서 재생원료를 ‘함유’하고 있는 포장용플라스틱제품에 대하여 생산세 항목을 감면하는 인센티브의 제공을 가정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음
o 산업연관표 데이터 및 산업연관표 데이터의 연구진에 의한 가상적인 분리
ㅇ 분석에 활용된 데이터는 2017년 산업연관표(한국은행)를 바탕으로 연구진이 재구성한 데이터로 구성됨
ㅇ 이제 이 연구에서의 관심은 포장용플라스틱제품 중 재생원료를 함유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 사이에 정책변수가 도입될 경우의 효과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에 있음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