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연구 환경보건 분야 안전망 구축을 위한 정책개발 기획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주요 내용 및 수행 체계

제2장 연구 현황 및 한계
1. 기존 환경보건 연구 로드맵
2. 환경보건 분야 연구 현황
3. 성과, 한계 및 시사점

제3장 환경보건 분야 주요 이슈 도출
1. 환경보건 키워드 도출
2. 포럼 개요
3. 포럼 발표 및 주요 도출 내용
4. 전문가 심층 면담 결과

제4장 중장기 연구 목표 및 추진 방안
1. 정책 연구의 비전 및 연구의 틀
2. 연구 추진 세부 목표 및 추진 방향
3. 중장기 연구 계획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o 연구의 필요성
ㅇ 국민이 체감하는 주요 환경 현안 해결을 위한 정책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
ㅇ 국민이 체감하는 환경 이슈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 제시를 위해 체계적인 연구계획 수립이 필요
ㅇ 국내 전문가 그룹의 의견을 수렴하여 현안별로 구체적인 세부 정책 개발 로드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o 연구의 목적
ㅇ 미래지향적인 관점으로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환경보건 정책의 장기적 방향을 제시
ㅇ 환경보건 정책의 주요 분야들의 정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중장기적 연구개발 로드맵 작성
2. 연구의 범위 및 주요 내용
o 연구의 범위
ㅇ 2015년 이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에서 수행한 연구 과제를 대상으로 검토
ㅇ 수용체 중심 위해 관리, 환경성 질환 예방, 환경약자 보호, 화학물질 관리 등 환경보건 정책의 주요 분야들을 포함
o 주요 내용
ㅇ 연구 현황 및 한계 분석
ㅇ 환경보건 분야의 전략 계획 및 핵심 정책 도출

Ⅱ. 연구 현황 및 한계
1. 기존 환경보건 연구 로드맵
o KEI 2015년 환경 정책연구사업 추진 5개년(2016~2020) 계획 검토
ㅇ 정책 연구 목표: 미래에 대응하는 국민 공감형 환경보건 정책 연구
- 미래사회를 지향하는 예방적 환경보건 정책 연구 추진
- 기후변화 사회에 대비한 환경보건 감시, 정책 수립 및 지원 전략 개발
- 국민이 공감하는 유해물질 관리 정책 추진
- 수요자 맞춤형 환경보건 서비스 개발 및 제공 기반 구축
2. 환경보건 분야 연구 현황 및 시사점
o KEI 연구 성과
ㅇ 화학물질 위해성 관리(28%) >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신규 환경 유해인자 관리(24%) > 미래 세대를 대비한 선제적 환경보건 정책 개발(23%) > 화학물질 평가 이행 및 지원(17%) > ICT 기반 유비쿼터스 환경보건 서비스 기반 구축(9%)순으로 연구 수행 비율을 차지함
ㅇ 자체 연구(39%)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함
ㅇ 정책 단계별 현황 중 정책 연구 및 정책 수립 연구를 가장 많이 수행함
o 연구의 방향성
ㅇ 선제적 환경보건 정책 개발
ㅇ 환경보건 서비스 기반 구축
ㅇ 화학물질 관리 제도 지원

Ⅲ. 환경보건 분야 주요 이슈 도출
1. 환경보건 키워드 도출
2. 포럼 개요
o 목적
ㅇ 도출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우선순위 주제에 대한 전문가 발표 및 논의를 통하여 관련 정책 연구 도출
3. 포럼 발표 및 주요 도출 내용
o 포럼 발표 내용
ㅇ 인체 위해 기반의 미세먼지 관리 전략
- 동북아시아 초미세먼지 건강영향 평가 통합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맥락에 기반한 미세먼지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ㅇ 환경노출의 건강 영향
- 노인성 질환의 특성과 중금속의 영향
ㅇ 환경복지(정의) 관점에서의 환경보건 이슈
- 환경정의와 환경복지 개념의 정의
- 환경보건 증진을 위한 환경복지 정책 방향 제시
ㅇ 내분비 교란물질(EDCs)로 인한 민감집단 건강영향과 관리 방안 마련
- 통합 위해성 평가 접근법을 통한 EDCs 연구 관리 방안
- EDCs 연구 관리 방안 마련의 한계점
ㅇ 화학물질 노출과 환경성 질환
- 화학물질 복합물과 대사질환 간의 상관성 규명
o 주요 도출 내용
ㅇ 인체위해 기반의 미세먼지 관리 전략
- 전체론적(holistic)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