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연구 생태공학적 기법을 활용한 지역단위 생태계 보호지역 확대방안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가. 공간 범위
나. 내용 범위
3. 연구 추진 체계

제2장 생태계 보호지역 지정 현황 및 한계
1. 국외 생태계 보호지역 지정 현황
가. 국제단위 보호지역
나. 국가단위 보호지역
2. 국내 생태계 보호지역 지정 현황
가. 국가단위 보호지역
나. 지역단위 보호지역
3. 종합고찰

제3장 생태계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생태공학 기법의 도입 및 마련
1. 생태공학 모형 개요
가. 생태공학 정의
나. 생태공학 연구 특성
다. 생태공학 모형
2. 생태공학 기법 도입 필요성
가. 생태공학 기법 활용 현황
나. 생태공학 기법 도입 필요성
제4장 생태계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생태공학 기법의 시범 적용 및 정책 활용
1. 대상지역 선정
가. 지역 현안
나. 지역 생태계 보호지역 현안: 한라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2. 시범 적용 방안
3. 시범 평가 결과 7
4. 평가 결과의 정책적 활용 방안
5.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태계의 보전 및 생물다양성 보전과 증진을 통한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하여 우리나라 대표 생태계 보호지역인 국립공원을 확대하기 위한 평가기법을 개발하고 이의 정책적 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생태계 보호지역 지정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둘째, 생태공학 기법을 기반으로 지역단위 생태계 신규 보호지역 평가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셋째, 이러한 기법을 제주도 생태계에 시범 적용하여 신규 보호지역 평가기법의 실효성을 제시하였다.
생태계 보호지역 지정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국제사회 및 선진국은 보호지역 지정 시 다양한 보호대상 및 용도, 생물 인자와 비생물 인자를 고려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생물종 및 서식처 위주로 보호지역을 지정·관리하고 있어 이동 경로, 자연과정,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보호지역 용도 역시 보전, 보호, 레크리에이션 위주로 한정 짓고 있어 보호대상의 유지, 회복, 복원, 모니터링을 위한 용도로도 검토가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는 보호지역 지정 목적, 규모, 비율, 생태 단위, 주변 지역, 이동 시간에 대한 고려 및 건강성, 온전성, 연결성, 토착성, 장기성, 잠재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보호지역의 합리적인 설정과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인자들과 인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지역단위 종합분석이 필요하며, 이러한 지역단위 종합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생태공학적 기법을 토대로 한 보호지역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분석틀을 제주도 지역에 시범 적용하여, 국립공원 보호지역으로 우선 편입해야 할 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들의 순위를 도출하였다. 특히 미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우수 생태계의 감소를 전망하고 이를 반영하여 보호지역 선정 우선순위를 도출한 결과, 가장 시급하게 보호지역으로 편입해야 할 지역들은 한라산국립공원 주변에 집중 분포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생태계 보호지역 분석기법은 다양한 생물 인자 및 비생물 인자,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 및 미래 환경변화를 고려한 각 지역 생태계의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현재 우수한 생태계뿐만 아니라 앞으로 중요하게 보호해야 할 생태계를 보호지역으로 편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제주도 시범 분석에서 미래 토지이용을 고려하였을 때 토지이용변화에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 우수 생태계를 도출하여 우선 보호지역으로 지정·관리할 것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생태공학적 분석틀의 충분한 활용을 위해서는 각 지표항목과 지표항목에 속하는 인자들에 대한 개별 공간자료가 필요하다. 또한 토지이용변화 외에 기후변화와 같은 다른 환경 인자의 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는 분석할 수 없었다. 이러한 분석의 한계는 기후변화 영향을 설명하는 생태자료와 연구 및 공간분석을 위해 구축된 자료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생태자료와 종별 서식지 환경조건에 대한 연구 자료가 필요하며 서식지 모형, 생태모형, hybrid 모형 등 경관생태모형을 활용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한계와 더불어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제주도 한라산국립공원과 육상 생태계에 제한되어 있어 해안 생태계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정책적 활용에 한계를 갖는다. 또한 한라산
저자발간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