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2022년도 환경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추진계획 공고
  • 작성일시2022-01-05 18:12
  • 조회수9,847
첨부파일

환경부 공고 제2021-863

 

 

 

 

 

2022년도 환경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추진계획 공고

 

'22년도 환경부 환경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추진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연구개발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 단체 또는 사업자는 2022.1.28.() 17:00까지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11229

 

환경부 장관

1. 사업개요

 

18개 환경기술개발사업 공고

사업명

사업목적

‘22년도 신규과제수* 및 지원예산(억원)

환경시설 재난재해 대응 기술개발사업

- 자연재난(지진, 태풍 등)으로 인한 환경시설의 파괴, 기능정지 등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이로 인한 2차 환경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난관리* 기술 개발

* 재난의 예방·대비·대응 및 복구를 위하여 하는 모든 활동

3개 과제 내외

29.09억원 내외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평가 기술개발사업

-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국민 불안을 완화하고 체계적인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미세플라스틱 환경오염 및 인체 건강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술개발

2개 과제 내외

12억원 내외

미래발생 폐자원의 재활용 촉진 기술개발사업

- 폐이차전지,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폐패널 등) 폐기물, 생활폐전기·전자제품(LED, 디스플레이드) 등 향후 발생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폐자원의 재활용 체계 구축을 위한 기술개발

6개 과제 내외

41억원 내외

사업장 미세먼지 지능형 최적 저감·관리 기술개발사업

- ICT, AI, 빅데이터 등의 4차산업기술을 대기방지시설에 적용하여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최적 저감·관리

6개 과제 내외

51억원 내외

폐플라스틱 활용 원료·연료화 기술개발사업

- 폐플라스틱의 물리·화학적 재활용 기술개발을 통한 폐플라스틱의 고부가가치화 원료·연료화 추진

4개 과제 내외

52억원 내외

폐자원 활용 에너지 전환 실증 기술개발사업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동식물 잔재물 등 미활용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에너지 전환 실증 기술개발

1개 과제 내외

37억원 내외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저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 달성지원을 위한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저감 기술 실증

4개 과제 내외

40억원 내외

신기후체제 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

- 국가 기후변화 대응(감축·적응) 목표치 산정, 최적 경로 분석, 이행평가에 필요한 글로벌 수준의 정책지원형 의사결정시스템 개발을 통해 신기후 체제 대응신기후체제 이행(NDC, 투명성 보고서, 적응보고서 등)지원

8개 과제

104.35억원 내외

지중환경 오염 위해관리 기술개발사업

- 2025년까지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지중환경을 구현하여 국민환경복지 제고

4개 과제

14.4억원 내외

상하수도 혁신 기술개발사업

- 상·하수도에서 기술적 혁신 수요가 높은 분야 중심의 기술개발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여 상·하수도 관리 혁신 및 관련 산업 육성(·하수도 시설 에너지 소비 절감, 핵심 기자재의 국산화율 제고, 신종오염물질 관리 강화)

4개 과제

10.95억원 내외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 기술개발사업

- 기후변화, 생활 및 산업 활동 변화로 인해 다양화, 다변화되고 있는 수생태계 건강성 위협 요인의 체계적 관리 기술개발을 통해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

8개 과제

44.8억원 내외

에너지·자원 회수형 고농도 하·폐수 처리 공정기술 개발사업

- 에너지 회수형 및 자원 회수형 하폐수처리 공정기술 개발을 통해 에너지 자급기술 및 탄소 발생 저감 기술 확보

2개 과제

28억원 내외

기후위기 대응 홍수방어 능력 혁신 기술개발사업

-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홍수 피해규모 및 빈도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유역자연성 회복 및 DNA기반 도심지 홍수 예측 고도화를 통한 이상홍수 대응역량 강화 기술 개발

4개 과제

30억원 내외

가뭄대응 물관리 혁신 기술개발사업

- 수도권 및 지방의 도시 인구집중 현상과 가뭄 주기(2~3)의 감소 등 물공급 환경변화에 따른 가뭄대응 물관리의 합리적 의사결정 판단기준과 가뭄규모별 물배분의 과학적 근거 마련

4개 과제

28억원 내외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기술개발사업

-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국민건강 보호와 환경피해 최소화를 위해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전주기 기술 확보

16개 과제

111.36억원 내외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핵심기술개발사업

- 다양한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환경성질환 피해가 지속 증가함에 따라, 인자-질환 상관성 규명, 예측평가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환경성질환 사전예방관리 강화를 통한 국민건강 위해 최소화

9개 과제

80억원 내외

화학사고 예측예방 고도화 기술개발사업

- 화학사고 발생 최소화를 위한 누유출 감시 등 화학사고 예측예방기술 및 사고 후 대응에 필요한 피해영향평가 등 사후평가 기술개발

4개 과제

22.26억원 내외

습지생태계 가치평가 및 탄소흡수 가치증진 기술개발사업

- 기후변화 등 요인으로 인해 훼손되는 습지생태계의 지속가능한 보전 및 탄소중립 이행지원 등 습지생태계의 가치증진 기술개발

2개 과제

37억원 내외

* 총괄과제수 기준

2. 신규과제 공모내용

사업명

분 야

연구

개발

단계

추진

방식

공모

방식

과제명

연구개발

기간

(단계별)

정부지원 연구

개발비

주관

연구개발

기관유형

필수참여

기관유형

보안

과제

여부

페이지

환경시설 재난재해 대응 기술개발

사업

환경시설 재난피해 예방·대비 기술

개발

(실증

사업화)

통합형/

개별형

지정

지진 및 침수 시 환경시설 피해예측 시뮬레이션 실증화 기술개발

2년 이내

(2)

24억원 내외

(’229억원 내외)

-

-

-

p.22

환경시설 재난피해 긴급대응기술

개발

(실증

사업화)

통합형

지정

환경시설 재난피해 실시간 감시 및 인공지능 기반 재난대응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2년 이내

(2)

30억원 내외

(’2214억원 내외)

-

-

-

p.24

환경시설 재난피해 복구기술

개발

(실증

사업화)

통합형/

개별형

지정

환경시설(정수 및 하·폐수) 재난 유형별 피해 진단 및 복구 통합패키지 기술개발

2년 이내

(2)

14억원 내외

(’227억원 내외)

-

-

-

p.26

미세

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평가 기술개발

사업

미세

플라스틱

인체

위해성

평가 기술

응용

통합형/

개별형

자유

생활환경 활동 전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 노출평가 기술 개발

3년 이내

(2+1)

24억원 내외

(’226억원 내외)

-

-

-

p.29

응용

통합형/

개별형

자유

미세플라스틱 노출과 건강영향평가 및 위해성평가 기술 개발

3년 이내

(2+1)

24억원 내외

(’226억원 내외)

-

-

-

p.31

미래발생 폐자원의 재활용 촉진 기술개발

사업

미래 폐자원 재활용 촉진 기술개발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폐배터리 안전 보관·관리 시스템 개발

3년 이내

(3)

35억원 내외

(’226억원 내외)

-

-

-

p.34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전기자동차용 폐이차전지 재활용 방전 및 스마트 해체 공정기술개발

3년 이내

(3)

45억원 내외

(’2210억원 내외)

-

-

-

p.36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이차전지 함유 소형 폐전기·전자제품 해체 및 선별 기술개발

3년 이내

(3)

35억원 내외

(’227.5억원 내외)

-

-

-

p.38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태양광 폐패널 통합 전처리 자동화 및 유가자원 회수기술개발

3년 이내

(3)

35억원 내외

(’228억원 내외)

-

-

-

p.40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LED 폐조명 재활용 전처리 및 유가자원 회수 기술개발

3년 이내

(3)

30억원 내외

(’227억원 내외)

-

-

-

p.42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차세대 폐디스플레이 전처리 시스템 및 소재화 기술개발

3년 이내

(3)

50억원 내외

(’228억원 내외)

-

-

-

p.44

사업장 미세먼지 지능형 최적 저감·관리 기술개발

사업

사업장 미세먼지 지능형 최적 저감·관리 기술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합금철 전기로 사업장의 NOx/미세먼지 동시저감 및 스마트 운전 기술 개발

3년 이내

(3)

40억원 내외

(’2211억원 내외)

-

-

-

p.47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석유화학 고체저장시설의 미세먼지 전구물질(THC) 최적 방지 기술 개발

3년 이내

(3)

27억원 내외

(’228억원 내외)

-

-

-

p.49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섬유염색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오일미스트 함유 대기오염물질 스마트 최적자동제어 기술개발

3년 이내

(3)

27억원 내외

(’228억원 내외)

-

-

-

p.51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생활주변 소규모 VOC 배출시설 스마트 통합관리 기술개발 및 실증

3년 이내

(3)

27억원 내외

(’228억원 내외)

-

-

-

p.53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부숙 유기질비료 제조시설의 스마트화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

3년 이내

(3)

27억원 내외

(’228억원 내외)

-

-

-

p.55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아스콘 사업장 배출 대기오염물질 지능형 관리 최적기술 실증 기술 개발

3년 이내

(3)

27억원 내외

(’228억원 내외)

-

-

-

p.57

폐플라스틱 활용 원료·연료화 기술개발

사업

폐플라스틱 활용 원료·연료화 기술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고순도 자원순환형 리사이클 PET Bottle 개발

4년 이내

(2+2)

44억원 내외

(’229억원 내외)

-

-

-

p.60

개발

통합형

지정

폐플라스틱 연속식 열분해 공정 기반 윤활기유 생산 기술 개발

4년 이내

(2+2)

170억원 내외

(’2225억원 내외)

-

-

-

p.62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PS로부터 스티렌 모노머 생산을 위한 고효율 열분해·분별증류 기술 개발

4년 이내

(2+2)

65억원 내외

(’229억원 내외)

-

-

-

p.65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혼합 폐플라스틱 가스화 유래 합성가스 기반 고순도 수소 생산 기술 개발

4년 이내

(2+2)

87억원 내외

(’2216억원 내외)

-

-

-

p.67

폐자원활용 에너지 전환 실증 기술

개발사업

자원순환 분야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미활용 복합 바이오매스 활용 에너지 전환 실증 기술개발

5년 이내

(3+2)

340억원 내외

(’2237억원 내외)

-

-

-

p.70

비이산화

탄소 온실가스 저감 사업화연계기술개발

사업

CH4 저감기술

개발

개별형

지정

축산업부문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돈분 저장 및 처리 시스템 실증화

4년 이내

(2+2)

67억원 내외

(’2212억원 내외)

-

기업

-

p.73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매립지 호기화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 실증 기술 개발

5년 이내

(2+3)

100억원 내외

(’2214억원 내외)

-

기업

-

p.75

N2O 저감기술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 적용 N2O 및 공정 가스 통합 처리 기술 개발

3년 이내

(3)

34억원 내외

(’2210억원 내외)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77

F-gas

저감기술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5Hp급 친환경 냉매(GWP 10이하)사용 냉장장치 시스템 기술개발

4년 이내

(2+2)

23억원 내외

(’222.9억원 내외)

-

기업

-

p.79

신기후체제 대응 환경기술

개발사업

기후변화

완화기술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글로벌 감축 통합평가모형

7년 이내

(2+3

+2)

143억원 내외

(’2213.48억원 내외)

-

-

-

p.82

응용

개별형

지정

관측기반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시스템 개발

5년 이내

(3+2)

45억원 내외

(’229.62억원 내외)

-

-

-

p.84

기초

개별형

지정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계)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

4년 이내

(2+2)

48억원 내외

(’229.62억원 내외)

-

-

-

p.86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글로벌 기후변화 및 대기오염 통합영향 평가 모델링 시스템 개발 및 적용

7년 이내

(3+2

+2)

135억원 내외

(’2219.25억원 내외)

-

-

-

p.88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글로벌(동북아) 기후변화-대기오염 원인물질 통합관리 모델링 시스템

5년 이내

(3+2)

72억원 내외

(’2214.44억원 내외)

-

-

-

p.90

기후변화

적응기술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AR6 기반 기후변화 적응사회를 위한 통합(사회·경제·기후·정책 연계)시나리오 및 SDGs 평가기술

5년 이내

(3+2)

41억원 내외

(’229.63억원 내외)

-

-

-

p.93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의사결정형 통합 영향평가 플랫폼

7년 이내

(3+2

+2)

152억원 내외

(’2220.21억원 내외)

-

-

-

p.95

기초

통합형

지정

도시 기후탄력성 확보 평가·관리 기술

7년 이내

(3+2

+2)

173억원 내외

(’228.1억원 내외)

-

-

-

p.98

지중환경

오염·위해

관리기술

개발사업

지중환경

오염·위해

진단·예방

기술

개발

개별형

지정

오염부지 토양생태 위해성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 평가

3년 이내

(3)

20억원 내외

(’225억원 내외)

-

-

-

p.102

개발

개별형

지정

지구물리특성 활용 지중환경 대표 오염물질별 모니터링 적용성 평가 기술 개발

3년 이내

(3)

15억원 내외

(’225억원 내외)

기업

-

-

p.103

개발

개별형

지정

지중환경 오염도 조사·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및 분석시스템 개발

3년 이내

(3)

9억원 내외

(’223억원 내외)

-

-

-

p.104

개발

개별형

자유

지중환경 오염·위해 진단·예방 기술

3년 이내

(3)

9억원 내외

(’223억원 내외)

-

-

-

p.105

상하수도 혁신 기술개발

사업

상하수도 미량 및 신종오염물질 최적 관리 기술

개발

개별형

지정

온라인 SPE-LC/MS 활용 잔류의약물질 및 소독부산물 측정 및 분석 시스템 개발

4년 이내

(3+1)

13억원 내외

(’223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107

개발

개별형

지정

정수 내 난분해성 미량 및 신종오염물질 제어를 위한 촉매오존산화 기술

4년 이내

(2+2)

18억원 내외

(’223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109

개발

개별형

지정

나노 소재 기반 미량 및 신종오염물질 고효율 흡착 정수처리 기술

4년 이내

(2+2)

18억원 내외

(’223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111

응용

개별형

지정

생물학적 공정 기반 미량 및 신종오염물질 하이브리드 하수처리 기술개발

4년 이내

(2+2)

18억원 내외

(’223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113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 기술개발

사업

수생태계

건강성 위협 유해물질 저감기술 개발

개발

통합형

지정

유해조류 및 조류유래 독성 물질 저감을 위한 기능성 흡착포 개발

4년 이내

(2+2)

27억원 내외

(’225억원 내외)

총괄(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

p.123

개발

개별형

지정

기포를 활용한 수중 퇴적물과 휴면포자 준설 기술 개발

3년 이내

(2+1)

38억원 내외

(’2212억원 내외)

기업

(영리기관)

-

-

p.126

개발

통합형

지정

준설퇴적물 내 오염물질 처리 및 재활용 기술 개발

3년 이내

(2+1)

25억원 내외

(’227억원 내외)

-

-

-

p.129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예측 기술 개발

응용

개별형

지정

국내고유종 기반 하천호소수 생물영향평가 기술개발

5년 이내

(3+2)

28억원 내외

(’224억원 내외)

-

-

-

p.131

응용

개별형

지정

유해물질에 대한 무척추동물 및 어류 취약성평가 기술 개발

5년 이내

(3+2)

35억원 내외

(’226억원 내외)

-

-

-

p.134

응용

통합형

지정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한 다차원 오믹스 통합 플랫폼 개발

5년 이내

(3+2)

36억원 내외

(’226억원 내외)

-

-

-

p.137

응용

개별형

지정

수생 생물을 이용한 하천퇴적물 건강성 평가 기술 개발

3년 이내

(2+1)

12억원 내외

(’224억원 내외)

-

-

-

p.140

응용

개별형

지정

물부족시 수생태계 건강성 감시대응 기술 개발

5년 이내

(3+2)

20억원 내외

(’224억원 내외)

-

-

-

p.142

에너지·자원 회수형 고농도 하·폐수 처리 공정기술 개발사업

에너지 회수형 고농도 하·폐수처리 기술

개발

통합형

지정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에너지 회수형 고농도 하폐수처리 기술

5년 이내

(2+3)

182.5억원 내외

(’2214억원 내외)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146

자원 회수형 고농도 하·폐수처리 기술

응용

통합형

지정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자원 회수형 고농도 하폐수처리 기술

5년 이내

(3+2)

182.5억원 내외

(’2214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148

기후위기 대응 홍수방어

능력 혁신기술 개발사업

유역의 자연성 회복을 통한

이상홍수 대응역량

강화기술 개발

응용

개별형

지정

자연성기반기술을 활용한 홍수 피해저감 및 완충 기술 개발

5년 이내

(3+2)

60억원 내외

(’229억원 내외)

-

-

-

p.151

응용

개별형

지정

이상홍수 대응을 위한 홍수방어시설 초연결 최적운영기술 개발

5년 이내

(3+2)

60억원 내외

(’228억원 내외)

-

-

-

p.154

DNA기반

리질리언스

확보를 통한

도시홍수

대응능력

강화기술 개발

응용

개별형

지정

도심지 홍수 모니터링 향상을 위한 멀티센싱 기기 및 활용 기술 개발

5년 이내

(3+2)

52억원 내외

(’226억원 내외)

-

-

-

p.157

응용

개별형

지정

지능형 정보기술 기반 고정밀 도시홍수 해석 및 예측기술 개발

5년 이내

(3+2)

70억원 내외

(’229억원 내외)

-

-

-

p.160

가뭄대응 물관리 혁신기술

개발사업

물순환 DNA 구축 및 가뭄대응능력평가 기술개발

응용

개별형

지정

물순환 DNA 및 가뭄대응능력 모니터링/평가/예측 플랫폼 구축

5년 이내

(3+2)

63.2억원 내외

(’229억원 내외)

-

-

-

p.164

응용

개별형

지정

지표수-지하수의 연계를 고려한 자연유량 평가 및 하천갈수량 예측 고도화 기술 개발

5년 이내

(3+2)

45억원 내외

(’227.5억원 내외)

-

-

-

p.166

가뭄대응 능력평가 / 물배분 최적화

응용

개별형

지정

가뭄기간 생태계를 고려한 물공급 대응능력 최적화 기술

5년 이내

(3+2)

55.5억원 내외

(’226.5억원 내외)

-

-

-

p.168

응용

개별형

지정

다원적 의사결정을 위한 Scenario Neutral(SN) 기반 가뭄취약도 평가기술 개발

5년 이내

(3+2)

44.2억원 내외

(’225억원 내외)

-

-

-

p.170

생활화학

제품 안전관리 기술개발

사업

생활화학제품 함유 혼합물 유해성평가 기술 개발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MoA 특성 기반 제품 중 복합혼합물 대상 인체 독성영향평가 기술 개발

3년 이내

(3)

19.2억원 내외

(’225억원 내외)

-

-

-

p.174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제품 함유 복합혼합물 대상 물리화학적 특성 및 체내 동태에 따른 흡입독성평가 기술 개발

4년 이내

(2+2)

68억원 내외

(’2214.6억원 내외)

-

-

-

p.176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형광표시인자 도입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활용 제품 함유 혼합물 대상 인체 독성 예측 시험법 개발

5년 이내

(3+2)

39억원 내외

(’225억원 내외)

-

-

-

p.178

생활화학제품 사용 환경 기반 노출평가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제품 사용조건별 신규화학물질 생활환경 중 인체 노출평가 기술 개발

3년 이내

(3)

48억원 내외

(’2215억원 내외)

-

-

-

p.180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제품 함유 유해물질 대상 인체 생애주기별 생체지표 기반 노출예측기술 개발

5년 이내

(3+2)

53억원 내외

(’229.6억원 내외)

-

-

-

p.183

생활화학제품 유해물질 위해저감 기술개발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중쇄지방산 기반 소듐알킬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대체 세정제용 항균성 천연계면활성제 개발

5년 이내

(3+2)

36억원 내외

(’226.8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185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친환경 욕실 생활제품 내 차아염소산나트륨 대체물질 개발

5년 이내

(3+2)

34억원 내외

(’226.8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187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소듐알킬벤젠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대체용 동식물 유지 유래 친환경 계면활성제 개발

5년 이내

(3+2)

34억원 내외

(’226.8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190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BTX(Benzene, toluene, xylene)계의 VOC free 저독성 비유기용매계 코팅제 개발

5년 이내

(3+2)

34억원 내외

(’226.8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192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살조제(algicide) 내 글루타르알데하이드 대체물질 개발

5년 이내

(3+2)

34억원 내외

(’225.8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194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범용 살균 방부제 2-phenylphenol 대체 물질 개발

6년 이내

(3+3)

58억원 내외

(’227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197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살충성분 피레스린/퍼메트린 대체물질 개발

6년 이내

(3+3)

60억원 내외

(’225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200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생활용 항균/소독 제품 내 글루타르알데히드 대체물질 개발

5년 이내

(3+2)

32억원 내외

(’225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203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생활건축용 방수제품 내 Diisocyanate 대체물질 개발

5년 이내

(3+2)

33억원 내외

(’225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205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어린이용품 내 함유된 Paraben 신제형 기술 개발

5년 이내

(3+2)

34억원 내외

(’224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208

개발

통합형/

개별형

지정

생활건축자재 및 제품내 접착성분 신제형 적용 formaldehyde 노출저감 기술개발

5년 이내

(3+2)

31억원 내외

(’225.8억원 내외)

-

기업

(세부내용은 RFP확인)

-

p.210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핵심기술

개발사업

환경성

질환 상관성 규명 기술개발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유전체 분석 기반 환경성질환 민감성 예측기술 개발

5년 이내

(2+3)

60억원 내외

(’2211억원 내외)

-

-

-

p.213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오믹스 기반 영유아기 환경유해 인자 영향 분석기술 개발

5년 이내

(2+3)

38억원 내외

(’227억원 내외)

-

-

-

p.217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오믹스 분석기술을 활용한

저농도 장기간 노출 특성에 따른 독성영향평가 기술개발

4년 이내

(2+2)

20억원 내외

(’224억원 내외)

-

-

-

p.221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호흡계질환(하부호흡기 중심) 영향 규명 기술 개발

5년 이내

(2+3)

54억원 내외

(’227억원 내외)

-

-

-

p.225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미세먼지 및 대기오염물질 복합노출에 의한 순환계질환 영향 규명 기술 개발

5년 이내

(2+3)

57억원 내외

(’2211억원 내외)

-

-

-

p.229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미세먼지 유입 영향 실내공기오염물질 노출에 의한 알레르기질환 영향 규명 기술 개발

3년 이내

(3)

23억원 내외

(’227억원 내외)

-

-

-

p.232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의한 신경계질환 영향 규명 기술 개발

3년 이내

(3)

35억원 내외

(’2211억원 내외)

-

-

-

p.236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의한 임신·출산계질환 영향

규명 기술 개발

5년 이내

(2+3)

57억원 내외

(’2211억원 내외)

-

-

-

p.239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의한 감각계질환 영향 규명 기술 개발

5년 이내

(2+3)

53억원 내외

(’2211억원 내외)

-

-

-

p.242

화학사고 예측·예방 고도화 기술개발

사업

화학사고 예측·위험평가 기술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D.N.A 기반 화학사고 예측 및 리스크 평가 기술 개발

4년 이내

(2+2)

34억원 내외

(’224.5억원 내외)

-

-

-

p.247

사업장 관리·감시기술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화학사고 예방관리를 위한 감지경보체계 최적화 예측 및 운영기술 개발

3년 이내

(3)

25억원 내외

(’224.6억원 내외)

-

-

-

p.250

화학사고 환경피해 진단 기술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화학사고 환경피해진단 정보구축용 그린환경기술개발

4년 이내

(2+2)

57억원 내외

(’227.2억원 내외)

-

-

-

p.253

화학사고 인체영향·피해 관리 기술

응용

통합형/

개별형

지정

위치정보서비스 활용 화학사고 노출평가 및 건강 위해성 평가 시스템 개발

4년 이내

(2+2)

46억원 내외

(’226.5억원 내외)

-

-

-

p.257

습지생태계 가치평가 및 탄소흡수 가치증진 기술개발

사업

습지

생태계 가치평가

응용

통합형

지정

습지생태계 가치평가 기술 개발

5년 이내

(3+2)

124억원 내외

(’2220억원 내외)

-

-

-

p.261

습지

생태계 가치증진

응용

통합형

지정

습지생태계 탄소흡수를 고려한 가치증진 기술개발

5년 이내

(3+2)

169억원 내외

(’2217억원 내외)

-

기업

-

p.264

 

정부지원 연구개발비에 표기되어 있는 과제는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50억원 이상 과제로 서면 심층검토(Peer review) 대상

예산 현황 등에 따라 변경 추진 가능

3. 추진방식·단계 및 공모방식

구 분

내 용

추진방식

개별형과제

- 단일과제로 구성·수행되는 단위과제로 하나의 독립기술을 개발해 기술의 사업화 또는 정책 활용을 달성하는 과제

통합형과제

- 2가지 이상의 독립된 세부 기술개발을 통합한 일체형 기술을 개발하는 과제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 특수한 응용 또는 사업을 직접적 목표로 하지 아니하고 현상 및 관찰 가능한 사실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얻기 위하여 수행하는 이론적 또는 실험적 연구단계

개발연구

- 기초연구단계에서 얻어진 지식을 이용하여 주로 실용적인 목적으로 새로운 과학적 지식을 얻기 위하여 수행하는 독창적인 연구단계

응용연구

- 기초연구단계, 응용연구단계 및 실제 경험에서 얻어진 지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제품, 장치 및 서비스를 생산하거나 이미 생산되거나 설치된 것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체계적 연구단계

공모방식

지정공모

- 사업제안요구서(RFP)세부개발대상기술’, ‘기술개발목표’, ‘최종성과물, ‘최소 성과목표등에 부합하는 기술에 한하여 신청하는 과제

’22년도 사업제안요구서 참조(사업제안요구서(RFP) 내용상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일부 제안 조정 가능)

자유공모

- 연구개발과제를 신청한 연구개발기관이 자유로이 제안한 과제

기술개발목표’, ‘최종성과물등 해당과제 제안요구서(RFP) 참조

 

4. 신청자격 및 수행제한

 

신청자격

 

 -국가연구개발혁신법2조제3호에 해당하는 연구개발기관

 

국외기관은 국내연구개발기관의 위탁연구에 참여 가능(, KIST유럽연구소 등 국내 정부출연연구개발기관의 해외지사인 경우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신청 가능)

 

신청·수행 제한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추진하였거나 추진 중인 과제와 중복되는 경우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관리시스템(http://ecoplus.keiti.re.kr)과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 활용하여 기 수행 연구과제 등 중복정보 검색가능

 

 - 접수마감일 기준 주관연구개발기관, 공동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 등이 의무사항(각종 보고서 제출, 기술료 납부, 기술료 납부계획서 제출, 정산금 또는 환수금 납부)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

 

 - 접수마감일 기준 참여기관(주관·공동·위탁연구개발기관, 수혜기업), 참여기관의 , 연구책임자 및 참여연구자 등이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을 받고 있는 경우

 

 - 접수마감일 기준 연구자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과제수가 최대5, 연구책임자로서 최대 3개를 초과한 경우

 

 · 다만,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64조제2항에 따라 다음에 해당하는 연구개발과제는 그 수에 포함하지 않고 산정 가능

 

1.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9조제2항 또는 제10조제2항에 따른 연구개발계획서의 제출 마감일부터 6개월 이내에 수행이 종료되는 연구개발과제

 

2. 사전 조사, 기획평가연구 또는 시험검사분석에 관한 연구개발과제

 

3. 연구개발과제의 조정 및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개발과제

 

4. 연구개발을 주목적으로 하지 않는 기반 구축 사업, 고등교육재정지원사업, 인력 양성 사업 및 학술활동사업 관련 연구개발과제

 

5. 국가연구개발혁신법4조제1호에 해당하는 사업 관련 연구개발과제

 

6.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연구개발기관이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수행하는 연구개발과제로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그 연구개발비를 별도로 정하는 연구개발과제

 

  가. 국가연구개발혁신법2조제3호나목부터 바목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연구개발기관

 

  나. 산업기술혁신 촉진법42조에 따른 전문생산기술연구소

 

7. 그 밖에 연구개발 촉진 등을 위하여 연구개발과제 수에 포함하지 않고 산정할 필요가 있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심의를 거친 연구개발과제

 

  - 접수 마감일 현재 연구개발기관이 부도 상태인 경우(기업만 해당, 비영리 및 공기업/공사 비적용)

 

 - 접수마감일 기준 세무당국에 의해 국세, 지방세 등의 체납처분을 받은 경우(, 회생인가 받은 기업, 중소기업 진흥공단 등으로부터 재창업자금을 지원받은 기업과 중소기업 건강관리시스템 기업구조 개선진단을 통한 정상화 의결 기업은 예외, 기업만 해당, 비영리 및 공기업/공사 비적용)

 

 - 민사집행법에 기하여 채무불이행자명부에 등재되거나, 은행연합회 등 신용정보 집중기관에 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된 경우(기업만 해당, 비영리 및 공기업/공사 비적용)

 

 - 파산, 회생절차, 개인회생절차의 개시 신청이 이루어진 경우(, 법원의 인가를 받은 회생계획 또는 변제계획에 따른 채무변제를 정상적으로 이행하고 있는 경우는 예외, 기업만 해당, 비영리 및 공기업/공사 비적용)

 

 - 최근 결산기준 자본전액잠식 상태인 경우(중소기업 건강관리시스템 기업구조 개선진단을 통한 정상화 의결 기업은 제외, 기업만 해당, 비영리 및 공기업/공사 비적용)

 

 - 외부감사 기업의 경우 최근년도 결산 감사의견이 의견거절또는 부적정인 경우(기업만 해당, 비영리 및 공기업/공사 비적용)

 

  -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서 접수마감일 기준 창업한지 1년 이내의 기업

 

 · 다만, 벤처기업 확인서가 있거나 상호변경 등의 사유로 제한대상기업에 해당되는 경우(사업자등록증 또는 법인등기부상 기존 기업을 승계한 증빙자료 제시) 제외 가능

 

 - 결산 기준 사업개시일 또는 법인설립일이 3년 이상이고 최근 2년 결산 재무제표 부채비율이 연속 500% 이상인 기업 또는 유동비율이 연속 50% 이하인 기업

 

 - 다만, 기업신용평가등급 중 종합신용등급이 ‘BBB’ 이상인 경우, 기술신용평가기관(TCB)의 기술신용평가 등급이 “BBB” 이상인 경우,외국인투자 촉진법에 따른 외국인투자기업 중 외국인투자비율이 50% 이상이며, 기업설립일로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외국인투자기업인 경우, 사업개시일로부터 접수마감일까지 3년 미만인 기업의 경우는 제외

 

5. 지원범위

 

 - 정부지원 연구개발비는 환경기술개발사업 운영규정에 따른 연구개발기관 유형에 따라 차등 지원하며, 과제별 정부지원 연구개발비는 사업제안요구서(RFP)에 따름(사업안내서 참조)

 

 · 다만, 평가 결과 등에 따라 지원금액이 달라질 수 있음